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딥시크 R1

DeepSeek-R1

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2025년 1월 20일에 출시한 고성능 추론 인공지능 모델(Inference Model)이다. 이 모델은 효율적인 연산과 실시간 응답 성능 극대화를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기존 대규모 생성형 AI 모델 대비 빠르고 정확한 답변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딥시크는 R1 개발에 약 557만 6천 달러(약 80억 원)를 투입했으며, 이는 메타(Meta)가 AI 모델 개발에 투자한 비용의 약 10% 수준이다. 또한, 엔비디아의 H800 GPU 약 2,048개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이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도 고성능 AI 모델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출시 직후 R1 기반 챗봇 애플리케이션은 미국 애플 앱스토어 다운로드 순위 1위를 기록하며 화제가 되었다. 또한, 아마존 웹 서비스(AWS)의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 및 아마존 세이지메이커(Amazon SageMaker)를 통해 제공되어 기업들이 R1을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현재 R1은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실시간 챗봇, 검색 엔진 강화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의료, 금융,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다. 그러나 데이터 편향성과 일부 특정 분야에서의 한계가 지적되고 있어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딥시크(DeepSeek)-R1은 개인정보 유출 우려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2025년 2월,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국방부 등 주요 정부 부처는 딥시크에 대한 접속을 일시적으로 차단했다. 또한, 한국수력원자력과 한전KPS 등 공공기관과 카카오, 라인야후 등 IT 기업들도 사내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