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점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분투하는 30대 ‘요즘아빠’ 4화
시리즈 총 5화
2024.02.07

읽는시간 4

0

◼ 30대를 중심으로 삶의 우선순위가 직장에서 가정으로 옮겨가고 가사 및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남성이 증가하는 ‘요즘아빠’ 현상이 확대

〇 ‘요즘아빠’ 현상은 2013년 이후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향후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
 

  • 이전부터 관련 용어가 등장했으며 2024년 주요 트렌드 중 하나로 선정

    - 직접 육아에 참여하는 아빠를 의미하는 ‘육아대디’, 스웨덴에서 휴직하고 육아에 전념 하는 남성을 지칭하는 ‘라떼파파⁴’

    - 김난도 서울대 교수는 공저서 『트렌드 코리아 2024』에서 가정 경제와 가사노동을 아내와 분담하는 ‘요즘남편’, 직장에서 일찍 퇴근해 아이를 돌보거나 휴직하고 육아에 전념하는 ‘없던아빠’를 소개

  • 연령이 낮은 남성일수록 일보다 가정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으며, 여성의 사회 참여가 확대되면서 ‘요즘아빠’ 현상은 더욱 강화될 전망

〇 가사와 육아 관련 남성이 보조적ㆍ부수적 존재에서 핵심 주체로 부상함에 따라 ‘요즘아빠’를 위한 지원 확대가 필요
 

  • 남성의 가사 및 육아 참여가 늘어남에 따라 여성 중심으로 구성된 각종 육아 시설 및 서비스를 남성도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

    - 지하철 역사에서 기저귀 교환대가 여성 화장실에만 설치되어 있거나, 수유 등을 위한 아기 돌봄 시설이 여성 전용 수유실과 함께 운영되는 경우가 많음

    - 육아 및 교육 정보를 공유하는 ‘맘스홀릭 베이비’를 비롯한 다수의 맘카페는 여성만 가입 가능하여 ‘요즘아빠’들은 아내 등의 명의로 가입하는 등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함

◼ 금융사를 비롯한 기업들은 가사 및 육아 관련 과거 여성 중심 타겟팅에서 벗어나 여성과는 다른 남성들만의 니즈를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상품ㆍ서비스 개발을 확대할 필요

〇 금융사는 ‘요즘아빠’ 시장 규모를 비롯해 행동 특성과 금융 니즈를 파악하여 이들을 위한 상품ㆍ서비스 개발에 반영할 필요
 

  • 동일한 가사 및 육아를 하더라도 남성과 여성의 상품ㆍ서비스 니즈가 다를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차이를 조사할 필요

    - ‘요즘아빠’ 시장 규모를 도출하고 행동 특성과 금융 니즈를 파악하여 이들을 위한 상품ㆍ서비스 개발에 반영할 필요

    - 여성은 자녀와의 애착관계를 확대하는 상품ㆍ서비스 니즈가 발달한 반면, 남성은 상품ㆍ서비스에 적용된 기술ㆍ편리성ㆍ가성비 등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음

    - 가정에서 아내가 아니라 남편이 자녀 교육 및 양육 관련 사항까지 고려할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한 남성의 금융 니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

    • ‘요즘아빠’를 위한 금융상품ㆍ서비스 개발 등을 통해 금융의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

    - ‘요즘아빠’들의 카드 활용 실태를 분석하여 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카드에 일과 가정의 양립과 관련한 혜택을 추가하는 등의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

⁴ 평일 아침에 유모차를 끌며 한 손에 라떼를 들고 있는 아빠들의 모습에서 탄생된 용어임

김준산

KB경영연구소

김준산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