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성형 AI 챗봇과 AI 어시스턴트의 도입은 금융업을 비롯한 여러 산업의 비즈니스 운영과 고객 서비스 영역에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는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업무 효율성 증대] 내부 감사 보고서 초안 작성, 세무 감사에 필요한 서류 준비, 기업 맞춤형 재무 분석 등에 활용되어 직원들이 보다 복잡한 문제에 집중함으로써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 증대
- 도이치텔레콤(Deutsche Telekom)은 회사의 정책과 과거 조달 전략에 대해 방대하게 학습한 내부 조달 부서용 AI 어시스턴트를 개발
- 이 AI 어시스턴트는 정책 준수 등 각종 사안에 대한 문의에 답변을 제공하고 특정 제안 요청에 대해 공급업체, 계약, 적정 가격 등을 추천하는 기능도 제공
- 조달 부서 직원들은 이 AI 어시스턴트를 활용하여 월간 약 5천 시간을 절감
- AI 어시스턴트는 고객 맞춤형 이메일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SNS 마케팅에도 활용 가능
- 개인화된 콘텐츠 생성 등을 통해 마케팅 담당 직원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 한 기업은 생성형 AI 적용으로 마케팅 콘텐츠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30% 이상 절감
○ [고객 서비스 개선] 콜센터용 AI 어시스턴트는 고객 상담 과정에서 상담원의 각종 업무를 보조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응대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
- 한 기업은 광범위한 데이터 학습을 기반으로 콜센터 직원을 보조하는 AI 어시스턴트를 도입하여 응대 품질을 약 40% 개선하고 고객 응대 시간을 약 35% 절감
○ [비용 절감] 업무 자동화를 통해 필요한 인력을 줄이거나, 인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재배치함으로써 운영비용을 낮출 수 있음
- 클라르나는 AI 도입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등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생성형 AI 챗봇 도입 성과를 토대로 직원 수를 현재 3천800명에서 향후 2천 명 수준으로 감축할 계획
○ [개인화된 경험 제공] 생성형 AI 챗봇은 고객의 선호도와 이전의 상호 작용 내용을 학습해 맞춤화 된 상품과 서비스를 제안함으로써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기업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