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관세 우려는 일단락, 달러는 점점 약해지는 중

2025.2.6 달러/원 환율 1,435~1,450원 전망
최신글
2025.02.06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관세 우려 완화 등 위험선호와 달러 약세에 하락세 유지
    • 글로벌 동향, 미국 경제지표 둔화 및 국채 수급 부담 완화에 달러 약세
    • 마켓 이슈, 일본 임금상승률 27년 만에 최대, BOJ 인상 기대에 엔화도 강세

달러/원 환율, 관세 우려 완화 등 위험선호와 달러 약세에 하락세 유지

전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미국 고용지표 둔화 및 중국과의 관세 협상 기대에 따른 위험선호에 1,453원으로 하락 출발. 중국 인민은행 (PBOC)의 위안화 절상 고시와 더불어 시장 예상을 웃둔 일본 임금지표에 엔화도 강세를 보이면서 원화도 강세 동조. 환율 하락세가 이어지며 전일 종가 대비 18.6원 하락한 1,444.3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미국 경제지표 둔화 및 관세 우려 완화에 1,443.5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전일 종가 대비 2.15원 소폭 상승한 1,444.75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약세에도 그간 급락세에 따른 되돌림에 1,440원대 중반에서 출발 예상. 미국의 관세 우려가 완화된 가운데, 미국 ISM 서비스업 지수는 예상을 밑돌며 경기둔화를 시사

미국 국채발행 규모도 당초 우려와는 달리 그대로 유지되며 달러 약세에 기여. 일본 금리인상 기대에 엔화가 강세인 점도 원화에 긍정적. 금일 달러/원 환율은 위험선호 분위기와 글로벌 달러 약세에 하락 흐름 유지될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미국 경제지표 둔화 및 국채 수급 부담 완화에 달러 약세

전일 미 달러화는 미국 경기둔화 및 국채 수급 부담 완화에 따른 장기 국채금리 하락에 약세 지속.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30% 하락한 107.62pt 기록. 미국 공급관리협회 (ISM)에 따르면, 1월 PMI는 52.8pt로 기준치 50.0pt를 상회하며 확장국면이었지만, 예상치 및 전월치 (54.0pt)를 하회하며 경기둔화 시사

미국 12월 무역수지는 관세 우려에 따른 수입 증가 (프론트로딩)에 984억 달러 적자 기록, 22년 3월 이후 최대치. ISM 지수 및 무역적자 확대를 반영해 애틀랜타 연은 GDPNow의 1분기 경제성장률 추정치는 기존 3.9%에서 2.9%로 하향 조정

한편 미국 재무부의 국채발행계획 (QRA)에 따르면, 향후 3개월 간 국채발행 규모는 종전과 동일하게 유지. 이에 국채 수급 부담이 완화되며 장단기 금리 모두 하락, 달러 약세에 기여. 특히 10년물 국채금리는 9.3bp 큰 폭 하락하며 4.422% 기록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일본 임금상승률 27년 만에 최대, BOJ 인상 기대에 엔화도 강세

지난 5일 달러당 엔화 환율은 152엔까지 하락하며 연중 최저치 기록. 이는 같은 날 발표된 일본의 12월 근로자 명목 현금수입 (임금) 상승률이 전년비 4.8% 상승하며 예상치 (3.7% 상승)를 큰 폭으로 상회했기 때문. 12월 보너스 임금이 6.8%나 상승한 것이 전체 임금상승에 상당 부분 영향

임금상승과 더불어 일본 경제재생상의 발언이 BOJ 추가 금리인상 기대를 키우며 엔화 강세에 기여. 그는 현재 경제에 인플레이션이 있다고 언급하며 금리인상에 우호적 입장을 표명. OIS 시장에 반영된 올해 12월 BOJ 금리는 0.7~0.8% 부근으로 현재 금리에서 20~30bp의 추가 인상을 기대 중

또한 올해 춘투에서 임금인상률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따른 BOJ 금리인상과 엔화 강세가 예상되는 상황. 한편 엔화와 동조하는 특성이 있는 원화 역시 강세 압력을 받을 수 있을지가 관건이며, 이 경우 달러/원도 추가 하락이 가능할 전망

일본 12월 임금상승률, 1997년 이후 최고치

1994년 부터 2024년까지 '일본' 근로자 명목 '현금수입'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한국 경제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결과와 최근 경제 이슈 정보를 빠르게 전달합니다.

이민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