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 약화로 달러 강세

오늘의 달러/원 환율 1,255~1,265원 전망
2023.02.07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미국 연준의 추가 긴축 전망에 달러 강세, 역외환율 상승
  • 글로벌 동향, 미국 고용 호조에 연준 긴축 종료 기대 약화로 달러 강세
  • 마켓 이슈, 미국 고용지표 호조로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는 더욱 약화

달러/원 환율, 미국 연준의 추가 긴축 전망에 달러 강세, 역외환율 상승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국 1월 고용지표 호조와 달러화 강세에 개장부터 18원 이상 급등하여 출발한 가운데 아시아 및 국내 증시 하락, 외국인 주식 순매도 증가 등에 상승폭을 확대, 종가는 23.4원 급등한 1,252.8원에 마감함

 

NDF 역외환율은 미국 고용지표 호조와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 약화, 미국채 금리 급등 및 달러화의 연일 강세에 전일 종가대비 8.45원 상승한 1,260.0원에 호가됨

 

금일 달러/원 환율은 미 국채 금리 상승 및 달러화 강세, 역외환율 상승을 감안하여 1,260원 전후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됨

 

미국의 고용시장이 연준의 금리인상 등 긴축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점과 이에 따른 미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전망, 국채 금리 상승과 주가 조정 등이 모두 달러에 강세 요인. 다만, 오히려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고 연준의 긴축 종료 시점 지연이라는 점에서 환율이 급등하지는 않을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을 나타내는 표. 2023년 2월 7일, 아시아 및 국내 증시 하락, ‘외국인 주식 순매도’ 증가 등에 ‘상승폭’을 확대, 종가는 23.4원 급등한 1,252.8원에 마감함.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를 나타내는 표. 2023년 2월 6일, 금일 달러/원 환율은 '미 국채 금리' 상승 및 '달러화' 강세, '역외환율' 상승을 감안하여 1,260원 전후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미국 고용 호조에 연준 긴축 종료 기대 약화로 달러 강세

전일 미 달러화는 유로화 및 일본 엔화, 영국 파운드화 등에 대해 모두 강세, 주요 6개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58% 상승한 103.60pt를 기록함. 지난주 금요일에 발표된 미국 1월 고용지표 호조가 전일에도 영향을 미침

 

더욱이 컨퍼런스보드에서 발표한 고용추세지수 (ETI)가 1월에 118.74로 전월 117.06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 미국 용시장이 견고함을 시사. 수요일 새벽에는 제롬 파월 연준의장의 이코노믹 클럽 연설이 예정되어 있어 매파적 발언도 우려됨

 

미국 경제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가 약화되고 이에 미국채 금리는 장기와 단기 모두 상승, 10년물 금리는 3.6%를 상회, 단기 2년물 금리는 4.4%를 상회함. 뉴욕증시는 모두 하락했고, 금리에 취약한 나스닥 지수는 1% 하락함. 국제유가는 연일 하락 이후 전일 소폭 반등함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을 나타내는 표. 2023년 2월 3일, 전일 미 ‘달러화’는 유로화 및 일본 엔화, 영국 파운드화 등에 대해 모두 강세, 주요 6개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58% 상승한 103.60pt를 기록함.

자료: 인포맥스, NDF 환율 = 현물환율 + 1개월 스왑포인트

마켓 이슈, 미국 고용지표 호조로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는 더욱 약화

미국 1월 고용지표 호조가 연준의 긴축 종료에 대한 기대를 더욱 약화시킴. 1월 고용의 서프라이즈한 결과에 대해 일시적 요인이나 통계적 요인 등으로 해석되기도 하나, 취업자수의 증가와 실업률의 하락은 여전히 미국 고용이 견조한 수준임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됨

 

해외 주요 투자은행 역시 이번 고용 발표 이후 연준의 목표금리 전망을 상향하거나 금리인하 시점을 지연하는 등 전망을 수정함. Fed Watch에서도 고용 발표 전에 3월에 0.25%p 금리인상과 최종 목표금리 5.0% 전망이 우세했으나, 고용 발표 이후에는 5월 5.25%와 6월 5.50% 금리인상 전망 확률이 높아짐

 

이는 미국 국채 금리 상승과 달러화에는 강세 요인으로 작용. 다만 이전처럼 자이언트 스텝이 아니라는 점에서 달러화가 급등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됨

미 고용지표 호조에 연준 목표금리 전망 상향

미 '고용지표' 호조에 '연준 목표금리' 전망 상향. 2023년 2월 6일, 미국 1월 '고용지표' 호조가 연준의 '긴축 종료'에 대한 기대를 더욱 약화시킴.

자료: Fed Watch (2023.2.6)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2023년 2월 7일,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2023년 2월 7일,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2023년 2월 7일,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2023년 2월 7일,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2023년 2월 7일,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2023년 2월 7일,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2023년 2월 7일, 주요 경제지표 일정.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