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전망은 반영 중

오늘의 달러/원 환율 1,312~1,322원 전망
2023.02.28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달러화의 조정과 역외환율 하락에 1,310원대에서 등락
  • 글로벌 동향, 영국 파운드화 강세와 미국 국채 금리 반락에 달러 하락
  • 마켓 이슈, 미국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전망을 반영하고 있는 금융시장

달러/원 환율, 달러화의 조정과 역외환율 하락에 1,310원대에서 등락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국 1월 PCE 물가지수의 상승과 연준의 추가 긴축 우려, 미 국채 금리 급등 등의 영향으로 개장부터 상승 출발하여 장중에도 상승폭이 확대, 위험회피심리까지 동반되며 종가는 18.2원 급등한 1,323.0원에 마감함

 

NDF 역외 환율은 영국 파운드화의 강세와 미 국채 금리의 조정, 뉴욕증시가 소폭 반등하는 등 위험회피심리도 완화되어 전일 종가대비 4.85원 하락한 1,316.5원에 호가됨

 

금일 달러/원 환율은 미 달러화의 약세와 역외환율 하락을 감안하여 1,310원대 중반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됨

 

전일 미국 국채 금리와 뉴욕증시 등은 단기 급등락에 따른 일부 되돌림을 보였으나 추세는 여전히 연준의 추가 긴축 전망을 반영하고 있음. 다만 50bp 등 빅스텝보다 25bp 금리인상의 베이비스텝이 예상되고, 이미 시장도 연준 긴축을 반영하고 있어 불안심리에 대한 급등 양상은 진정될 것으로 판단됨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을 나타내는 표. 2023년 2월 28일, 금일 '달러/원 환율'은 미 '달러화'의 약세와 '역외환율 하락'을 감안하여 '1,310원대 중반'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됨.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를 나타내는 표. 2023년 2월 28일, 50bp 등 '빅 스텝'보다 25bp 금리인상의 '베이비 스텝'이 예상되고, 이미 시장도 '연준 긴축'을 반영하고 있어 '불안심리'에 대한 급등 양상은 진정될 것으로 판단됨.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미국 은행주 주가 급락과 국채 금리 하락, 달러도 약세

전일 미 달러화는 유로화 및 영국 파운드화에 대해 약세, 주요 6개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55% 하락한 104.66pt를 기록함. 미국 경제지표 호조와 연준의 추가 긴축에 대한 우려로 단기간에 금리가 급등하고 뉴욕증시 조정 폭이 컸으나 전일에는 금리는 소폭 하락, 뉴욕증시도 소폭 반등하며 숨고르기 장세를 보임

 

전일 발표된 1월 내구재 주문은 전월대비 4.5% 감소하여 감소폭이 컸으나, 운송장비를 제외한 내구재는 전월에 비해 0.5% 증가하여 양호함. 미국 주택시장 선행지표인 미결주택판매가 1월에 전월비 8.1% 큰 폭 증가한 점도 예상보다 양호했음

 

한편, 영국 파운드화는 북아일랜드의 EU 브렉시트 재협상이 타결된 소식에 달러 대비 강세를 보였고, 유로화도 강세를 보임. 일본 엔화는 BOJ 차기 총재의 완화 기조 유지 발언에 달러화 및 유로화에 대해 약세를 기록함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을 나타내는 표. 2023년 2월 28일, 전일 미 달러화는 유로화 및 영국 파운드화에 대해 약세, 주요 6개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55% 하락한 104.66pt를 기록함.

자료: 인포맥스, NDF 환율 = 현물환율 + 1개월 스왑포인트

마켓 이슈, 미국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전망을 반영하고 있는 금융시장

미국 경제지표 호조와 그에 따른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전망이 시장에 반영되고 있음. 단기 국채 2년물 금리는 4.8%를 상회한 후 다시 소폭 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미국채 10년물 금리도 4%에 근접했으나 3.9% 수준으로 낮아짐

 

달러화 지수는 105pt를 상회하기도 했으나, 전일 영국 파운드화의 반등 등에 104pt로 하락함. Fed Watch에서는 연준의 최종 목표금리로 5.5% 전망이 우세함. 이를 반영한 수준이 2년물과 10년물 금리, 그리고 달러화 지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하지만 지난 2022년 양상과는 다른 모습. 2022년에는 연준의 긴축 가속과 최종 목표금리에 대한 기대가 더 가파르게 상향되었기 때문. 하지만 연준의 최종 목표금리가 얼마 안남았다는 점에서 달러화 강세 압력은 지난해보다 적을 것으로 판단됨

미 국채 장단기 금리와 달러화 지수 추이

미 ‘국채 장단기 금리’와 ‘달러화 지수’ 추이. 2023년 2월 28일, ‘단기 국채 2년물 금리’는 4.8%를 상회한 후 소폭 반락, ‘미국채 10년물 금리’도 4%에 근접했으나 3.9% 수준으로 낮아짐. ‘달러화 지수’는 105pt를 상회하기도 했으나, 전일 영국 파운드화의 반등 등에 104pt로 하락함.

자료: 인포맥스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2023년 2월 28일, 국내 외환 시장 동향을 나타내는 표.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2023년 2월 28일,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을 나타내는 표.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2023년 2월 28일,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을 나타내는 표.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2023년 2월 28일,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를 나타내는 표.

자료: 인포맥스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2023년 2월 28일,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을 나타내는 표.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2023년 2월 28일, IRS/CRS 및 Swap Point를 나타내는 표.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2023년 2월 28일, 주요 경제지표 일정을 나타내는 표.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