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6월 무역수지 11.3억 달러 흑자 기록 – 2022년 2월 6.7억 달러 흑자 이후 18개월여 만에 흑자
- 대외 수출은 전년비 6.0% 감소, 대외 수입은 11.7% 감소로 수입 감소 폭 확대에 따른 ‘불황형 흑자’
- 수출은 자동차, 선박, 장비 등에서 증가, 반도체 및 대중국 수출은 감소 지속, 수입 감소는 에너지 가격 하락 영향
작게
보통
크게
한국 무역수지, 적자에서 18개월 만에 흑자로 전환
한국 무역수지, 22년 2월 이후 18개월 만에 11.3억 달러 흑자
자료: 관세청, Bloomberg
6월 무역흑자는 수출 부진에도 수입 감소 영향
자료: 관세청, Bloomberg
하반기 수출 개선 및 수입 감소 지속, 무역수지는 흑자 전망
하반기 수출 개선 및 수입 감소 지속에 무역수지 흑자 전망
자료: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추정
2023년 무역적자 축소, 2024년 무역수지 및 경상수지 흑자
자료: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추정
물가와 금리, 하반기 물가 안정으로 기준금리 동결 전망
소비자물가, 2023년 하반기부터 3% 이내로 안정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추정
물가 둔화로 한은 기준금리 동결 전망, 2024년 말 2.85%
자료: Bloomberg Consensus (2023.7.11), KB국민은행 추정
실물경기, 고용 등에 동행경기 반등, 하반기에는 경기회복 전망
선행경기 사이클 하락에도 고용, 생산 회복에 동행경기 반등
자료: 통계청
22년 4분기 역성장, 2023년 하반기에는 성장률 회복 전망
자료: Bloomberg Consensus (2023.5.30)
글로벌 위험 선호 (Risk on)는 원화에 강세 요인
미국 나스닥 지수와 한국 KOSPI 지수 상승, 위험선호 (Risk on)
자료: Bloomberg
5월 이후 외국인의 주식 순매수 유입, 해외투자유입이 원화 강세
자료: Bloomberg
★ 적정 환율 (FV), 2023년 말 1,232원, 2024년 6월 1,196원
5가지 변수의 적정 환율 (FV), 2024년 6월 FV는 1,196원
자료: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추정
회귀 분석 결과 – 주요 변수 (금리차, 국제유가, 위안화 환율 등)
자료: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추정
달러/원 환율 장기 추이
2000년 이후 달러/원 환율 – 과거 평균 1,140원 (레인지 1,034~1,246원), +2 표준편차 상단은 1,351원 (확률은 2.5%)
자료: Bloomberg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 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목차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