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용 경계, 한국 금리인하 압력에 달러/원 혼조<br>

10월 1주차 외환 및 스왑 시장 전망
24.09.30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핵심 내용 요약

  • 지난 주 달러/원 환율은 연준 '빅 컷' 소화에 따른 위험선호심리와 중국 위안화 강세에 동조한 원화에 하방 흐름을 보였습니다
  • 연준 50bp 금리인하에도 미 장기금리는 반등했지만, 미국 증시는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위험선호가 불거졌습니다
  • 중국 인민은행의 지준율 인하 등 대규모 경기부양책에 위안화가 강세였고, 원화도 이에 동조하는 모습이었습니다
  • 이번 주는 미국의 핵심 경제 지표인 9월 ISM 지수 및 고용, 한국의 9월 소비자물가 지수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금주 외환시장은 미국 지표에 대한 경계가 이어지는 가운데, 한국 인플레이션 압력 둔화로 인한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주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 9월 소비자물가 2% 하회 예상, 금리인하 압력

  • 이번 주 수요일 (2일)에는 한국의 9월 소비자물가 지수가 발표될 예정임. 9월 물가상승률은 전년비 1.9%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데, 국제유가 하락 영향과 더불어 내수 부진으로 인해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이 둔화하고 있기 때문임
  • 9월 지표가 예상대로 나온다면, 이는 한국은행의 물가 목표치 2%를 하회하는 것이기 때문에 금리인하 압력도 더욱 강해질 것으로 보임
  •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 둔화 및 내수 부진, 연준 등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리인하 사이클 등을 감안했을 때 한국은행은 오는 10월 11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됨. 한국은행 금리인하는 미국과의 금리차 확대라는 점에서 달러/원 하방을 제약하는 요인임

한국 소비자물가 둔화에 기준금리 인하 압력

2015년 부터 2024년까지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한국은행 '기준금리'의 흐름을 그래프로 정리하였다.

자료: Infomax, Bloomberg Consensus

주간 환율 예상

  • 달러화 지수(DXY)는 미 장기금리 반등에도 불구하고 위험선호 및 주요국 통화 강세에 100pt내에서 좁은 박스권 등락. 이번 주도 고용 등 주요 경제 지표 경계에 변동 폭이 크지 않을 전망
  • 달러/엔 환율은 BOJ의 완화적 기조에 145엔까지 상승함. 금주는 미국 지표에 주목하는 가운데, 일본 총재 선거 결과를 소화하며 141~144엔대에서 박스권 등락이 예상됨
  • 유로/달러 환율은 1일 발표될 유로지역 9월 소비자물가 지수 둔화 예상에 상방은 제한적. 상단은 전고점인 1.12달러 부근으로 예상
  • 달러/원 환율은 지난 주 위안화 강세에 연동되며 1,310원대로 속락. 이번 주는 미 고용에 대한 경계 심리가 작용하는 가운데, 한국 9월 소비자물가 둔화에 따른 금리인하 기대에 하락 폭은 크지 않을 전망

환율 예상 범위

'환율' '달러/원', 달러/엔,  유로/달러의 주간 예상 범위 및 월간 예상 범위가 표로 정리되어 있다.

Note: 위 예상치는 국민은행의 공식견해는 아니며, 시장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AI 환율 전망 (2024.9.26 기준)

'달러/원 환율'의 예상 경로를 확률에 따라 정리하여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AI환율 전망은 USD/KRW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를 AI기술을 활용하여 분석한 것으로서 정보의 정확성은 보장하지 않습니다.

  • 9월 26일 기준으로 AI모델이 과거 유사시기를 찾고, 그 시기의 환율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1개월 환율 움직임을 예측함
  • 현재 시장상황과 유사했던 과거 시기가 많지 않아 단일 시나리오로 환율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경우, 환율은 현재 1,317원에서 1개월후 1,338원으로 점진적 상승흐름 예상함

* 보합은 현재 환율기준 +/-5원 범위로 설정

금리 스왑 (IRS) 및 통화 스왑 (CRS) 전망

금리 스왑 (IRS), 국내 휴장으로 인한 한산한 장세 속, 장단기 커브 중심 거래 예상

 

  • 지난주 IRS 금리는 주중 대통령의 통화정책 전환점 발언과 금통위원의 비둘기파적 발언으로 단기물 중심 오퍼 분위기 강화된 가운데, 장기물은 글로벌 금리 트렌드에 맞춰 소폭 상승하며 커브 스티프닝 마감
  • 이번주 IRS 금리는 국고채 장단기 스프레드 레벨 확대에 따라 차익실현성 IRS 장단기 스프레드 오퍼 관측될 것으로 예상. 주중 국내 징검다리 휴일 예정되어 한산한 장세 속 장단기 커브 중심 거래되는 보합 장세 예상

 

통화 스왑 (CRS), 휴장으로 인해 거래량 제한적, 변동성 큰 장세로 시작 후 한산해질 것으로 예상

 

  • 지난주 CRS 금리는 주 초반 공공기관 부채가 주 재료로 작용하며 레벨 상승 출발 후, 연이은 KP물 발행 소화하는 흐름 이어지며 금리 하락으로 되돌리는 모습
  • 이번주 CRS 금리는 대체 휴일 앞두고 분기말 영업일로 출발하면서 거래량은 제한될 것으로 보이나, 변동성 큰 장세로 시작 후 개천절 전후로 다소 한산한 모습 보일 것으로 예상

기간별 환율 및 스왑 금리 변동

기간별 '환율' 및 '스왑 금리'의 변동폭을 보여주는 표다.

비고: 2024. 9. 27 종가 기준 (1bp=0.01%p)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목차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