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상호관세 유예에도 원화는 여전히 ‘Under-Value’

2025년 4월 10일 경제 이슈 분석
2025.04.10

읽는시간 4

0

미국 트럼프의 말 한 마디에 달러/원 환율 급등락 반복

4월 10일 개장 환율은 38.1원 급락한 1,446원에 출발했다. 오후 3시 30분 달러/원 환율은 낙폭을 줄여 1,459원에 정규장 마감했다. 최근 환율은 적게는 20원에서 많게는 30원 이상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고 있다.

 

지난 4월 4일, 한국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에 환율은 32.9원 하락했으나, 같은 날 중국의 대미 보복 관세에 7일 갭 상승 개장한 뒤 33.7원 급등 마감했고, 10일은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에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1,487원)를 경신했다.

 

금일 환율은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조치에 27.7원 급락 마감했다. 이러한 극심한 환율 변동성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미중 무역전쟁 격화 등에 기인한다.

달러/원 환율의 극심한 변동성, 하루에 20~30원 변동

'달러/원 환율'이 극심하게 변동한다는 걸 보여주는 그래프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2025년 원화, 달러화를 비롯해 유로화 및 엔화 등에 모두 약세

2025년 들어 원화는 미 달러화를 비롯해 유로화 및 일본 엔화에 대해 모두 약세이다. 유로/원 환율은 연초 1,500원 수준에서 현재 1,600원까지 약 6% 이상 상승했고, 100엔당 원 환율도 920원에서 최근 1,000원을 상회하기도 했다.

 

이러한 원화 가치 하락은 국내 정치 불안 요인도 있었지만, 이보다는 미국 상호관세로 인한 한국 수출 둔화 등 한국 경제 펀더멘털에 대한 불안, 대외적으로는 미중 무역전쟁 격화에 따른 위험자산회피 심리가 주된 요인이다.

한국 원화는 유로화 및 일본 엔화 대비 약세

'한국 원화'는 유로화 및 일본 엔화 대비 '약세'임을 보여주는 그래프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미중 무역전쟁, 중국 위안화와 동조하는 한국 원화 불안

트럼프 관세 정책이 미중 보복전 양상으로 번져가며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의 의도적인 ‘위안화 평가절하’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웰스파고(Wells Fargo)는 위안화 가치 최대 15% 절하, 제프리스(Jefferies)는 최대 30% 절하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위안화 평가절하는 원화에도 부정적인데, 원화는 위안화의 프록시 통화(proxy currency)로, 서로 동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달러당 위안화 및 원화 환율의 분포 및 회귀식을 그려보면, 위안화 1% 절하 시 원화는 2% 이상 절하된다. 위안화 평가절하 시나리오가 현실화한다면, 원화도 약세 압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국 위안화 및 한국 원화 환율의 동조성

'중국 위안화' 및 '한국 원화' 환율의 '동조성'을 보여주는 그래프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중국 위안화 1% 절하 시, 한국 원화 2.43% 절하

'중국 위안화' 1% 절하 시, '한국 원화' 2.43% 절하된다는 걸 보여주는 그래프다.

자료: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추정 (기간: 2022.7.1~2025.4.10)

아직은 여전히 ‘원화 약세’, 저평가 해소 시 달러/원의 급격한 하락 가능성

최근 미 달러화의 약세에도 불구하고, 원화는 여전히 저평가되어 있다. 미 달러화 지수 및 달러/원 환율의 통계적 관계를 고려하면, 미 달러화 지수 102pt대에서의 달러/원 적정 수준은 1,350원대다. 현재 환율이 1,450원대인 점을 고려하면, 현재 원화는 글로벌 달러 가치 대비 약 7% 이상 저평가되어 있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관세율을 10%로 하향했지만, 상기 언급한 원화 저평가 요인(한국 경제 펀더멘털 불안, 미중 무역전쟁, 위안화 평가절하 가능성 등)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환율도 높은 레벨을 지속할 것이다. 하지만 이를 뒤집어 해석하면, 원화 저평가 해소 시 달러/원 환율이 급격하게 하락할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한다.

미 달러화 지수 및 달러/원 환율의 괴리 (원화 저평가)

'미 달러화 지수' 및 달러/원 환율의 괴리를 보여주는 그래프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미 달러화 지수 1pt 하락 시, 달러/원 16.5원 하락

'미 달러화 지수' 1pt 하락 시, '달러/원' 16.5원 하락한다는 걸 보여주는 그래프다.

자료: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추정 (기간 2024.7.1~2025.2.28)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한국 경제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결과와 최근 경제 이슈 정보를 빠르게 전달합니다.

이민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