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부동산중개업소를 둘러보면 '전세 매물 기근'이라는 말이 실감 난다. 거래할 수 있는 전세는 드물고, 그마저도 대부분 준전세나 준월세 형태다.
부동산정보업체 '아실'에 따르면 10월말 현재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지난해 말보다 26%가량 감소했다. 3년 전 이맘때에 비하면 거의 반토막 수준이다. 단순한 계절적 요인으로 치부하기 어려운 수치다. 경기도 역시 지난해 말보다 30%이상 줄었다. 전세 매물이 급감한 배경에는 정책을 비롯한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우선 5년 전 '주택임대차2법’(계약갱신청구권 · 전월세상한제) 시행 이후 기존세입자들이 계약갱신청구권을 활용해 장기 거주하면서 유통되는 전세 물량이 크게 줄었다. 여기에 지난 6·27대책으로 ‘대출을 내서 집을 사면 6개월 내 입주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으면서 투자 목적의 매입이 감소했다. 임대를 놓을 수 있는 여지도 줄었다.
이 여파로 수요자 체감 지표인 전세수급지수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KB부동산에 따르면 10월 27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159.6을 기록했다. 지난 8월25일 조사 당시 150선을 넘은 이후 꾸준히 상승세다. 전세수급지수(범위 0~200)는 100을 초과할수록 '공급부족’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가운데 20일부터 시행된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조치도 전세시장에 불똥이 튈 것으로 보인다. 서울 전역과 경기 남부 벨트 12곳에서 아파트를 사려면 2년 이상 실거주해야 한다. 집을 사도 세를 놓을 수 없다는 뜻으로, 이는 곧 전세 공급 감소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