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3주차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4% 상승하며 4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습니다.
수도권은 0.09% 상승했지만, 5대 광역시는 -0.04% 하락했습니다. 울산(0.05%)만 28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간 반면, ‘부산(-0.04%)·대구(-0.07%)·광주(-0.06%)·대전(-0.06%)’은 모두 낙폭이 커졌습니다. 기타 지방은 0.01% 소폭 반등했습니다.
작게
보통
크게
목차
전국 집값
수도권 강세 vs 지방 광역시 약세
2025년 9월 3주차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4% 상승하며 4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습니다.
수도권은 0.09% 상승했지만, 5대 광역시는 -0.04% 하락했습니다. 울산(0.05%)만 28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간 반면, ‘부산(-0.04%)·대구(-0.07%)·광주(-0.06%)·대전(-0.06%)’은 모두 낙폭이 커졌습니다. 기타 지방은 0.01% 소폭 반등했습니다.
즉, 서울·수도권은 강세, 지방 광역시는 약세라는 양극화 구도가 점점 선명해지고 있습니다.
서울 집값 34주 연속 상승
‘토지거래허가제’ 변수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21% 상승, 전주(0.18%)보다 오름폭을 키우며 3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상승률 상위 지역은 성동구(0.62%), 송파구(0.54%), 중구(0.54%), 강동구(0.43%) 순입니다. 특히 성동구는 옥수·행당·금호동 일대 구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몰리며 서울 내 최고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주목할 점은 최근 정부가 마포·성동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해당 지역의 매수 대기 수요가 일시적으로 움직인 점입니다. 투자 수요를 억제하기 위한 규제 강화 시그널에도 불구하고, 재건축 기대감과 학군·입지 프리미엄이 결합되며 단기적으로는 가격을 자극한 모습입니다.
경기는 분당·과천 강세, 인천은 하락 전환
경기 아파트 매매가격은 0.05% 상승하며 6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성남 분당구(0.69%), 과천(0.58%)’이 강세를 주도했습니다.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와 기대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크게 늘어난 상황입니다.
반면 평택(-0.22%), 이천(-0.20%)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며 외곽 지역과의 격차가 두드러졌습니다.
인천은 -0.01% 하락 전환했습니다. 서구(-0.06%)·중구(-0.01%) 등은 약세, 미추홀(0.03%)·부평(0.01%)은 소폭 상승에 그쳤습니다.
결국 수도권도 ‘핵심 입지·재건축 기대 지역 강세 vs 외곽·중소도시 약세’라는 차별화가 뚜렷해졌습니다.
전세시장은?
송파·강동 매물 부족, 울산 불균형 심화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3% 상승하며 28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서울은 0.07% 올라 32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으며, 특히 ‘송파구(0.32%), 강동구(0.27%)’의 전세가격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재건축 단지 이주 수요와 신규 입주 부족으로 전세 매물이 귀해진 영향입니다.
경기는 0.03%, 인천은 0.02% 상승했습니다.
지방에서는 대전이 -0.05% 하락했지만, 울산은 0.07% 오르며 매매와 전세 모두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지방 일부 지역의 전세 수급 불안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심리지수로 본 시장
매수우위지수 67.0, 전세수급지수 154.2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67.0으로 전주 대비 6.5p 상승, 4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강북 60.4, 강남 73.0으로 모두 상승했습니다.
전세수급지수는 서울이 154.2로 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전국 평균도 152.9로 전세 매물이 크게 부족한 상황입니다.
9.7 공급 대책과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은 시장에 규제 강화 메시지를 던졌습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규제 전에 먼저 움직이려는 수요”가 일부 지역에 몰리며 가격을 자극하고 있습니다. 즉, 정책이 시장 안정에 긍정적 신호를 주면서도, 단기적으로는 서울·수도권의 불안 심리를 더 자극하는 아이러니가 나타나고 있는 것입니다.
이번주 시장 한 줄 정리
9월 3주차 아파트 시장은 서울·수도권 강세와 지방 약세가 더욱 뚜렷해진 한 주였습니다. 여기에 토지거래허가제 지정 확대 검토라는 정책 변수까지 더해지며 서울 핵심 지역의 매수세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전세 불안도 심화되며, 향후 시장은 정책 효과와 지역별 양극화가 맞물려 복잡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