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비사업 최대 6.5년 앞당긴다고? 신속통합기획 2.0 효과 낼 수 있을까

부동산 이슈트렌드
25.09.30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추석 전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던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 2.0(이하 신통기획 시즌 2) 추진계획이 9월 29일 발표됐습니다. 사업기간을 크게 줄이고 주택공급을 확대한다는 신통기획 시즌 2의 주요 내용과 구체적 변화 포인트를 살펴봅니다.

‘신통기획 시즌 2’ 어떤 내용 담겼나

'정비사업 속도 끌어 올려! '신속통합기획 시즌 2' 주요 내용' 사업기간 줄이고 주택공급 확대. 인허가 절차 간소화, 협의·검증 신속화, 이주 촉진. 소요 기간 18.5년→13년→12년으로... 최대 6.5년 단축. 2031년까지 31만가구 착공, 2035년까지 37만7,000가구 준공. 민간 주도 활성화, 강남3구·한강벨트 등 핵심지에 공급. 하단에는 공사현장과 도면, 안전모 사진이 배치되어있다.

🏬 신통기획이란?

- 서울시가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도입한 공공지원 계획

- 기존 정비사업 기간 18.5년→ 13년으로 5.5년 단축

🏗️ 신통기획 시즌 2 주요 내용은?

- 인허가 절차 간소화, 협의·검증 신속화, 이주 촉진 등 ‘3대 핵심 전략’ 토대

- 13년에서 1년 더 줄여 12년으로... 최대 6.5년 단축

- 2031년까지 31만가구 착공

- 2035년까지 37만7,000가구 준공 목표

- 민간 주도 활성화, 강남3구, 한강벨트 등 핵심지에 신속 공급

🏙 그 밖에 행정적 지원

- 환경영향평가 초안검토 회의 생략

- 전산 조회 간소화

- 추정분담금 중복 검증 폐지

- 관리처분 타당성 검증기관 확대 등

- ‘재개발 임대주택 세입자 자격조회’도 1회(관리처분)로 단축

신규 주택, 어디에 공급될까?

'2031년까지 서울 한강벨트 주택공급 위치도' 수트를 입은 남성이 "강남3구를 비롯 주요 지역에 충분한 주택을 공급할 예정" 라고 인터뷰에 응하는 모습이다. 2031년까지 한강벨트 주택공급 위치를 표시한 서울시 지도이다.

🔔 서울시 입장은?

- 정비구역 지정 앞둔 사업장, 모아주택 등 소규모정비사업, 리모델링 물량 더하면 2031년까지 최대 39만가구 이상 공급 가능

- 한강벨트 등 수요가 많은 지역에 전체 착공 물량의 63.8%인 19만8,000가구 집중 공급

👀 ‘한강벨트’에 19.8만호, 구별로는?

- 강남구 2만5,000가구, 서초구 1만5,000가구, 송파구 3만5,000가구 등 강남 3구만 7만5,000가구❗

- 양천구 5만3,000가구, 영등포구 2만3,000가구, 용산구 2만1,000가구 등

💬 서울시장은?

“신통기획 시즌2를 본격 가동해 공급 속도를 획기적으로 앞당겨 서울 전역에 체감할 수 있는 주택공급과 부동산 시장 안정 효과를 실현하겠다.”

“민간 중심의 정비사업, 특히 강남 3구를 비롯 주요 지역에 충분한 주택을 공급하겠다.”

앞으로의 변화 포인트는?

'주변 집값 상승, 사업 진연 우려도... '신통기획' 사업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길' 2025년부터 2031년까지 착공물량과 준공물량 예상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착공물량은 향후 6년간 31만호, 준공물량은 향후 10년간 37.7만호가 지어질 예정이다.

📌 신통기획 시즌 2, 장점은?

- 각종 절차 폐지 및 인허가 간소화, 소요 기간 단축 및 공급 속도 향상

- 민간 주도로 다양한 사업성 개선 효과

- 핵심 입지에 주택 공급 확대

📌 신통기획 시즌 2, 단점은?

- 공공과 민간 정책 엇박자 시 효과 반감

- 공사비 상승, 추가분담금 부담 증가

- 조합·시공사 분쟁 가능성도 존재

- 미미한 착공 실적도 아직 해결 안돼


- KB부동산 25년 9월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한강 이남 11개 구 평균 아파트 매매가: 18억677만원

한강 이북 14개 구 평균 아파트 매매가: 10억2,238만원


-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실에 따르면

2021년 9월~2025년 7월 신통기획 선정 206곳 중 실제 착공 현장 2곳에 불과

📢 단기적 영향

- 강남 3구, 한강벨트 등 서울 핵심지역 관심 집중

- 매물 회수 및 호가 상승

📢 중장기 전망

- '똘똘한 한 채' 영향으로 핵심지역 수요 초과 가능성

- 집값 과열 열기 번져 주변지역 ‘키 맞추기' 현상 빚어질수도

서울시는 재개발·재건축을 활성화 해 핵심지에 빠른 주택 공급을 책임지겠다는 입장인데요. 주택시장 불안정 속 서울 도심 공급 부족을 해결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