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원, 변동성 확대 요인은 대외불확실성

KB FX 전략
25.09.22
읽는시간 1분

퀵하게 보기

  • 9월,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와 함께 달러는 약달러 기조 지속
  • 국내: 국내의 해외로의 투자수요가 꾸준한 가운데, 최근 대미 투자 관련 불확실성도 추가적인 달러/원 상방 리스크로 작용
  • 대미 투자 펀드 조성, 직접투자 방식은 큰 폭의 환율 변동성 확대 요인
■ 9월,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와 함께 달러는 약달러 기조 지속

9월 달러는 연준의 금리 인하로 인한 유동성 확대 기대감을 반영해 97pt까지 하락하며 약달러 국면을 이어나가고 있다.
금융시장의 가장 큰 이벤트인 9월 FOMC가 막을 내린가운데, 일부 빅컷 (50bp인하) 기대도 있었으나, 시장 예상대로 25bp인하에 부합했다.
주된 관심사는 9월 이후의 연준의 방향성을 가늠하기 위한 점도표나 파월 의장의 스탠스였는데, 점도표에 따르면 올해 2차례 추가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했지만, 2026년에는 점도표상으로 1차례 인하로 (시장은 3차례) 아직까지 보수적인 입장을 보였다.
외환시장은 이미 달러가 금리 인하 기대를 선반영한 부분이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금리 인하 사이클 내 달러 약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며, 달러 약세의 속도와 폭은 향후 미국 경기에 달렸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국내: 국내의 해외로의 투자수요가 꾸준한 가운데, 최근 대미 투자 관련 불확실성도 추가적인 달러/원 상방 리스크로 작용

작게

보통

크게

0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