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관광의 시대 (1): 구조적 성장 가능성에 더해진 ‘중국의 한일령’

KB 주식시황
25.11.17
읽는시간 1분

퀵하게 보기

  • ■ K-관광의 시대: 구조적 성장 가능성
  • ■ K-관광의 시대를 주목하는 4가지 이유
■ K-관광의 시대: 구조적 성장 가능성
2024년 초부터 밸류업 프로그램을, 2025년 초부터는 상법 개정 등 한국 자본시장의 구조개혁에 대해 자세히 다뤄왔는데, 일본을 많이 참고하면서 들었던 피드백 중 가장 의아한 것이 하나 있었다.
일본이 잃어버린 20년에서 회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지극히 ‘주식투자자의 관점’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그림 1>을 보면, 일본 GDP는 1990년까지 구조적 성장을 한 후 1990년 이후에는 실질적인 성장이 멈춘 상태다.
그런데 <그림 1: 우측 아래 그림 ? 일본 GDP 대비 경상이익>을 보면, GDP 내에서 기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이후 3~4배가 증가했다.
해석해본다면, 일본 경제 전체는 크게 성장하지 못했지만 기업들만 성장했다는 것이다.
반대로 가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축소된 것이기 때문에, 내수 부진이 장기화 했다는 의미가 될 수도 있겠다.


즉, 일본은 기업이 회복하고 있는 것이지, 내수 (가계)가 회복하고 있다고 보긴 어렵다.
그리고 이는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작게

보통

크게

0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