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배분/매크로

미 금리 상승 배경과 전망, 원화에는 약세 요인

KB Issue 미 장기금리 상승
18.10.04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미 국채 10년물 금리 3.2% 근접하여 3월 고점 돌파

현지 시간 10월 3일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지난 5월 고점인 3.11%를 상회하여 3.18%까지 상승했고, 10월 4일 아시아 시장에서는 3.2%를 상회하기도 했다.
미 금리 상승의 배경으로 1) ISM 서비스업 지수와 ADP 고용 등 미국 경제 지표 호조, 2) 이탈리아 재정불안 우려 완화, 3) 국제유가 상승, 4) 파월 의장 등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 대한 매파적 해석, 그리고 5) 미국 채권시장 수급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경제 펀더멘털 측면에서 추가 금리상승 압력


성장률 등 미 경기 호조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지 않으므로 결국 이는 고용 호조→(서비스업 호조) 임금 상승→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며, 연준의 2019년 금리인상은 9월 제시된 점도표보다 많은 3회 이상으로 예측될 수 있다.
이는 미 금리의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
다만 임금 상승은 최근의 유가 상승과 더불어 기대인플레 상승 요인이나, 미 물가보상채권 (BEI)은 2.13%에서 2.16%로 상승 폭이 크지 않아 미 금리 급등에는 다른 영향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탈리아 정부가 재정적자를 감축하겠다고 발표해 안전자산 선호를 약화시켰지만 15일까지 EU에 제출 후 이달 말이 되어서야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며 길게는 올해 말까지도 불확실하다.
김상훈 김상훈
문정희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