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KB주택시장 리뷰 2025년 7월호

25.07.14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요약

◦ 서울 매수세 확대로 매매가격 상승세 지속. 6월 말 발표된 대출 규제 영향에 주목

  • 서울 강남권 주택 매매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인근 비규제지역으로 매수세가 확대되면서 전체적으로 가격 상승폭 확대(5월 0.50%→6월 0.93%)
  • 정부에서 6월 27일 고강도의 대출 규제(수도권 대출 한도 6억 원 및 전입 의무화, 소유권 등기 이전 전세대출 금지 등)를 발표한 이후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 심리가 냉각되면서 주택시장 향방에 관심이 집중

◦ [매매시장] 서울 비규제지역으로 매수세가 확대되면서 매매가격은 상승세 지속

  • (가격) 6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4% 상승했으며, 서울(0.93%)과 과천(2.59%)이 가격 상승세를 주도
    - 서울 강남3구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인근 비규제지역으로 매수세가 확대(양천구 3.05%, 성동구 2.68%)되면서 전체적으로 가격 상승폭이 커짐
    - 지난 5월 높은 상승세를 보였던 세종은 이전 계획이 장기화되며 가격 상승세가 주춤(1.20%→0.86%)
    - 정부에서 6월 27일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하며 수도권 대출 규모를 제한하고(대출 한도 6억 원) 전입을 의무화하는 등 강력한 대출 규제에 나섬에 따라 매수시장은 당분간 관망세를 보일 가능성
  • (거래) 5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6.2만 호로 3개월 연속 6만 호를 상회
    - 주택 매매 거래량은 전월 대비 소폭 감소(-4.2%)했으나 3개월 연속 월평균 6만 호 이상의 높은 수준을 유지
    - 아파트 거래량은 2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5월 누계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 대비 15.3% 증가. 수도권 매수우위지수도 3개월 연속 상승

◦ [전세시장] 하반기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 감소로 전세시장 불안이 지속될 가능성

  • (가격) 6월 수도권 전세가격(+0.17%)은 23개월 연속 상승세를 시현. 하반기 예정된 신규 입주물량은 약 6.4만 호로 상반기 대비 17.0% 감소함에 따라 전세시장 불안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 (거래) 5월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 중 아파트는 월세 비중이 45%대를 기록
    - 비아파트 임대차 거래의 74.9%를 월세가 주도하는 가운데, 저금리로 아파트의 월세 비중도 증가세를 시현

◦ [주택 분양] 상반기 분양물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시장 내 공급 부족 우려 고조

  • 6월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전월 대비 1.1만 호 감소한 약 7천 호에 그쳤으며, 상반기 월평균 분양물량은 약 1.2만 호로 최근 5년 평균(2.6만 호)의 절반 이하 수준을 기록
  • 5월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약 6.7만 호로 전월 대비 감소한 반면 준공후 미분양은 2.7만 호로 22개월 연속 증가세

◦ [주택금융]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923조 원으로 전월 대비 증가폭 확대(4월 4.1조 원→5월 5.1조 원)

  • 지난 몇 달간 서울 및 수도권 주요 지역의 매매 거래가 늘면서 주담대 증가폭이 확대. 6월 27일 가계부채 관리 방안 발표 이후 대출 신청액은 감소할 것이나 기체결된 주택 거래 및 대출 승인으로 당분간 증가세가 이어질 전망
  • 5월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전월 대비 0.11%p 하락한 3.87%를 기록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