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코스닥 벤처펀드

코스닥 시장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도입이 결정된 펀드로 펀드 투자금의 절반을 혁신·벤처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2018년 3월5일 첫 선을 보였다.
유망 벤처기업에 자금이 흘러들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다. 코스닥 벤처펀드는 전체 자산의 15%를 벤처기업이 새로 발행하는 주식에 투자해야 한다. 비상장 기업 주식이나 상장사가 유상증자로 발행한 신주, 신규 상장기업의 공모주, 벤처기업의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가 여기에 포함된다. 여기서 말하는 벤처기업은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2조2항에 따라 기술성과 성장성이 높아 정부가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받은 기업이다.

나머지 자산 중 35%는 벤처기업이나 벤처기업 지정이 해제된 후 7년 이내인 코스닥 상장 기업 주식에 투자해야 한다. 코스닥시장에서 이 기준을 만족하는 종목은 577개다. 이들 종목의 시가총액을 합하면 128조원으로 코스닥시장의 46%를 차지한다.

코스닥 벤처펀드는 벤처기업 투자 비중을 강제하는 ‘채찍’과 소득공제, 공모주 우선배정이라는 ‘당근’을 함께 갖췄다. 이 펀드에 가입하는 투자자는 투자금 10%에 대해 3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코스닥 벤처펀드에는 공모형과 사모형 펀드가 있다. 각각 운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공모형 펀드는 CB BW 등 메자닌 투자에서 제약이 있다. 공모형 펀드는 등급을 받지 않은 채권은 담을 수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쉽게 편입할 수 있는 메자닌 투자가 제한적이다. 메자닌 발행 기업은 통상적으로 비용 등의 이유로 신용평가사로부터 등급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사모형 펀드는 이런 제약에서 자유롭다. 일부 헤지펀드 운용사는 사모형으로만 코스닥 벤처펀드를 내놓고 있다.

시장 변동성 위험에 대처하는 방식도 다르다. 사모형 펀드는 코스닥시장 급등락 리스크를 선물거래 등으로 헤지하면서 운용하는 반면 공모형 펀드는 특별한 요인이 없다면 시장 방향성을 그대로 추종하는 전략을 쓴다.

사모형 펀드는 투자금액이 크기 때문에 원금을 지키는 방향으로 운용할 수밖에 없는 반면 공모형 펀드는 기본적으로 시장 변동성을 안고 가는 전략을 편다. 코스닥시장이 활황세를 보이면 공모형 수익률이 사모형보다 좋게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환율조작국

자국의 수출을 늘리기 위해 정부가 인위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해 자국에 유리하게 환율을 조작하는 국가를 말한다.

미국은 1988년 제정된 `종합무역법'과 2015년 제정된 '무역(교역)촉진법'에 근거해 2016년 부터 매년 4월과 10월 어느 나라를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지를 담은 ‘환율보고서’를 발표한다.
미국은 1)대미 무역 흑자 200억 달러 초과 2)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흑자 비율 3% 초과 3)연간 달러 순매수가 GDP대비 2%초과 또는 12개월중 8개월 이상 달러 순매수 등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할 경우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중 두 가지 요건에 해당할 경우는 관찰대상국으로 분류된다.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미국은 해당 국가에 대해 환율 저평가 및 지나친 무역흑자 시정을 요구한 후 1년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을 경우 해당국에 대한 미국 기업의 투자 제한, 해당국 기업의 미 연방정부 조달계약 체결 제한, 국제통화기금(IMF)에 추가적인 감시 요청 등의 구체적인 제재 조치를 취하게 된다.

한국은 종합무역법에 따라 1988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됐다가 2년 만에 풀려난 적이 있다. 중국과 대만도 1990년을 전후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됐다.
미국은 2019년 5월 환율보고서에서 한국, 중국, 일본,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등 총 9개국을 환율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미국은 지난 1998년 이후 공식적으로 환율 조작국을 지정하지 않고 있다가 2019년 8월 5일(현지시간)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전격 지정했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최근 중국이 자국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했다"며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므누신 장관은 "중국이 외환시장에서 지속적이고 큰 규모의 개입을 통해 통화가치 절하를 용이하게 해온 오랜 역사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위안화의 가치 하락을 들어 중국을 환율조작국이라고 비판한 뒤에 나온 조치다.
중국 위안화의 가치는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1달러=7위안`의 벽이 5일 깨졌다.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는 `포치`(破七) 현상이 나타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진행 중이던 2008년 5월 이후 11년 만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위안화 가치가 하락한 것과 관련해 "환율 조작"이라고 규정하면서 중대한 위반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 관리 정책에 대한 불만도 재차 표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준비제도도 듣고 있냐"며 연준까지 겨냥한 뒤 "이것(중국의 환율조작)은 시간이 흐르면서 중국을 매우 약화할 중대한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넥쏘

NEXO

현대자동차가 2018년 3월부터 양산을 시작한 수소연료전기자동차(FCEV).
전장 4,670mm, 전폭 1,860mm의 크기에 전륜구동 방식으로 최고 속도는 시속 177-197km이다.

넥쏘는 한 번 충전하면 609㎞를 주행할 수 있다. 전 세계에 나온 수소차 중 주행거리가 가장 길다. 경쟁 차종인 도요타 미라이(502㎞)와 혼다 클래리티(589㎞) 등은 아직 500㎞대에 머물고 있다. 넥쏘의 복합연비는 수소 1㎏당 96.2㎞(17인치 타이어 기준)다. 5분 충전으로 채울 수 있는 최대 수소량은 6.33㎏이다.

넥쏘의 세부모델은 모던과 프리미엄 등 두 가지가 있다. 판매가격은 모던이 6890만원, 프리미엄이 7220만원이다. 정부 보조금과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을 모두 받을 경우 3390만~3970만원에 구매할 수 있다.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큰 차이가 없다. 현대차는 2022년까지 1만 대를 판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수소연료전기자동차는 공해배출물이 없다는 전기자동차의 장점을 뛰어넘어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 기능을 가지고 있어 궁극의 친환경로 불린다.

넥쏘는 수소탱크의 수소를 연료전지 스택(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와 물을 만드는 장치)에 보내 공기 중 산소와 결합시킨다. 이 결합에 의해 전기가 만들어지고, 모터가 움직인다.

연료전지 스택은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청정 공기만 사용해야 한다. 넥쏘는 3단계 공기정화 시스템을 갖췄다. 바깥 공기가 차량 안으로 들어오면 가장 먼저 공기필터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 화학물질과 먼지가 줄어든다. 초미세먼지 97% 이상이 걸러진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공기는 이후 막 형태의 가습기를 지나가야 한다. 이 과정에서 남은 초미세먼지 대부분이 제거된다. 마지막으로 연료전지 스택 내부에 있는 기체확산층(공기를 연료전지 셀에 골고루 확산시키는 장치)도 공기를 정화한다. 현대차는 넥쏘를 1시간 운행할 경우 공기 26.9㎏이 정화된다고 설명했다. 성인(체중 64㎏ 기준) 42.6명이 1시간 동안 호흡할 수 있는 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