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PHIGS

Poland, Hungary, Italy, Greece, Spain

폴란드, 헝가리,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2018년 6월 미국의 CNN이 유럽연합(EU) 위기의 진앙이 될 수 있다고 지목한 국가들이다.
2012년 촉발된 남유럽발 재정위기는 그리스, 스페인 등의 막대한 부채와 만성 재정적자, 금융회사 부실이 원인이었다면, 2018년에는 EU와 개별 국가의 정치적 대립이 위기의 뇌관 역할을 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서민 복지를 앞세운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 정당 ‘오성운동’과 EU의 난민정책에 반기를 든 극우정당 ‘동맹’이 연정을 통해 서유럽 최초의 반(反)EU·포퓰리즘 정권을 탄생시켰는데 이들은 기본소득 도입, 감세, 연금 확대를 추진하고 있어 이탈리아 재정 불안이 가중될 것이란 우려가 크다.
스페인은 오성운동과 비슷한 성향의 ‘포데모스’와 ‘시민당’ 등이 급부상하고 있다. 경제 상황은 6년 전 재정위기 때보단 나아졌지만 실업률은 여전히 높다고 CNN은 지적했다.
그리스는 2018년 8월20일 유럽중앙은행(ECB)과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 프로그램이 끝난다. 그러나 부채가 2800억달러(약 300조원)나 남아 있는 게 변수다.
폴란드와 헝가리는 재정의 상당 부분을 EU에 의지하고 있다. 하지만 난민정책과 인권·민주주의 논란으로 EU와 정면출동하고 있다.
유럽 주요 국가에서 악재가 불거지면 PHIGS는 연쇄적으로 불안정해질 수 있다고 CNN은 예상했다. 유럽 재정에 악영향을 미칠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협상이 진행 중이고, 독일에선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우익 포퓰리즘 정당의 압박을 받고 있다. EU는 미국과도 통상갈등을 빚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캔버싱

canvassing

후보자와 열성 당원, 자원봉사자들이 선거구 내 유권자들의 자택을 일일이 방문해 문을 두드려 직접 만나는 영국 선거 방식이다.
영국이 법정선거비용을 제한한 데다 확성기와 유세차 사용, 합동연설회, 벽보 부착 등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굳어진 선거운동 방식이다. 한국에서는 후보나 선거 운동원의 가정방문이 법으로 금지돼 있지만 영국 미국 등 일부 서방 국가에서는 캔버싱이 광고와 함께 선거운동의 기본이다.
캔버싱은 일일이 넓은 지역을 다 다녀야 하는 만큼 강인한 체력과 인내심이 필요하다. 대신 돈은 한 푼도 들지 않는다. 공식 선거운동 기간 운동원들에게 일당 및 다과를 제공하는 한국과 달리 영국에서는 후보를 돕는다고 해서 금전적 보상이 따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재산이 많지 않아도 능력과 패기만 갖추고 있다면 정치 신인 누구나 카운슬러가 될 수 있다. 그나마 얼마 들지 않는 선거자금조차 후보자 소속 정당이 모두 지원한다.

캔버싱은 중도층을 향해 전략적으로 이뤄진다. 각 당은 수차례 선거를 치르면서 축적된 유권자 성향조사서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 변화된 유권자 거주 동향, 지지 성향 등을 파악한다. 이런 식으로 선거마다 갱신된 유권자 정보는 다음 선거에서 당의 귀중한 자산이 된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서밋

Summit

IBM이 개발한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강력한 슈퍼 컴퓨터. 파이낸션타임스(FT)스의 2018년 6월 9일 보도에 따르면 서밋은 미국 에너지부(DoE)에 설치되 가동에 들어 갔으며 성능은 무려 200페타 플롭스(초당 20경회 부동소수점 연산 속도)로 기존 세계최고 슈퍼컴의 2배 수준의 성능을 자랑한다.

슈퍼컴퓨터 계산 속도 순위에서 세계 선두였던 중국 슈퍼컴퓨터 ‘타이후즈광(太湖之光)’의 초당 9경3000조 회 연산처리보다 두 배나 빠른 속도다.

서밋은 30년간 데스크톱 컴퓨터가 작업해야 할 분량을 불과 한 시간 만에 처리할 수 있다. 미국이 슈퍼컴퓨터 연산 처리 속도에서 중국을 제친 것은 2012년 이후 처음이다. 슈퍼컴퓨터는 컴퓨터의 F1(포뮬러원 경주)이라고 불릴 만큼 국가 기술력 수준을 나타내는 상징이 되고 있다.

서밋 구축에는 인공지능(AI)이 사용됐다고 FT는 설명했다. 기존 슈퍼컴퓨터에 사용된 대규모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술이 아니라 AI 기반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이 서밋에 적용됐다는 것이다. 이 같은 슈퍼컴퓨터 시스템 구축을 위해 IBM은 이미지 처리 반도체(GPU) 기업인 엔비디아 등과 공동으로 관련 기술을 개발했다.


서밋은 컴퓨터 심장부에 ‘파워9’으로 불리는 IBM 중앙처리장치(CPU)를 9216개 사용했고 계산 능력을 높이기 위해 2만7648개의 GPU도 채용했다. 서밋 크기는 테니스 코트 두 개 정도에 해당한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KRX미드 200

KRX Mid 200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대표하는 우량 중형주 200종목을 묶은 만든 지수. 한국거래소가 2018년 2월 내놓은 통합 대형주 지수 KRX300과 비슷한 개념의 중형주 지수로 2018년 6월25일 발표했다.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에 상장된 보통주 가운데 관리종목, 투자주의 환기종목 등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펀드 운용이 가능한 종목을 1차 선정한 뒤 시장 규모와 유동성, 재무요건 등을 추가 적용해 지수편입 대상을 선별하는 절차를 거쳤다. 최종적으로는 이 중 KRX300에 편입된 종목을 제외한 시가총액 상위 200개 종목을 산업별 구분 없이 선정했다.

KRX미드200은 유가증권시장 67종목(34%), 코스닥 133종목(66%)으로 구성됐다. . 코스피·코스닥시장 시가총액 700위 내에서 거래대금 순위가 상위 85% 이내이며 유동비율, 재무상태, 주식 거래량 등에서 기준을 충족한 종목중 'KRX300' 지수에 포함되지 않는 200개 종목이 최종 선정됐다.

시총 비중은 유가증권시장 35.6%, 코스닥 64.4%다. 코스닥 종목 비중이 23.3%(시총 기준 6.6%)에 그쳐 유가증권시장 대형주에 쏠려있다는 지적을 받은 KRX300에 비해 코스닥 비중이 훨씬 커졌다.

산업군별 시총 비중은 제약·바이오 업종을 포함한 헬스케어(44개)가 25.5%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정보기술(IT)·통신(57개) 24.6%, 산업재(30개) 13.7% 순이다. KRX300에 빠진 안트로젠 휴온스 SK디스커버리 에머슨퍼시픽 매일유업 JYP엔터테인먼트 KTB투자증권 등이 새로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