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브레이크스루상

Breakthrough Prize

소셜미디어인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투자해 큰돈을 번 러시아 벤처투자자 유리 밀너가 제안해 미국 실리콘 밸리의 IT기업 경영자들과 공등으로 만든 상.
기초물리학, 생명과학 그리고 수학 등 3개 분야에서 뛰어나 성과를 이룬 개인이나 팀에게 시상을 한다.

본상과 별도로 13~18세 학생에게 ‘주니어 브레이크스루 챌린지’ 등을 시상한다.

과학의 아카데미상’ ‘실리콘밸리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이 상은 수상자 한 명에게 돌아가는 상금이 최대 300만달러(약 32억원)로 노벨상 상금의 세 배에 가깝다.

물리학과 생명과학 분야에서 광범위한 진보를 이룬 과학자, 수학 분야에서 획기적 성과를 낸 수학자,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중력파 연구자와 유령입자로 알려진 중성미자 검출에 이바지한 과학자 등이 브레이크스루상을 받았다.

이 상을 운영하는 브레이크스루상재단은 ‘브레이크스루 이니셔티브’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인류의 상상력을 태양계 바깥으로 확장하는 네 가지 획기적인 연구도 지원하고 있다.

최근 타계한 영국의 천재 천체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케임브리지대 교수, 밀너, 저커버그 주도로 2016년 출범한 ‘브레이크스루 스타샷 프로젝트’가 그중 하나다. 3만 년 걸리는 우주 항해를 20년 만에 주파하는 우주돛단배를 건조하는 1억달러 규모 프로젝트다.

브레이크스루상재단은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을 찾는 ‘브레이크스루 워치’, 태양계 바깥에서 지적생명체의 소리를 듣는 ‘브레이크스루 리슨’, 외계 생명체에게 지구를 대표할 정보를 담아 전해줄 메시지를 설계하는 ‘브레이크스루 메시지’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주파수

주파수는 전파가 공간을 이동할 때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다. 1㎓는 1초에 10억 번 진동한다는 뜻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은 멀리 가지 못하지만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실어나를 수 있다. 대신 신호를 멀리 보내기 위해 기지국을 촘촘히 세워야 한다. 낮은 주파수 대역은 잘 휘어 먼 거리를 가지만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이 적다. 과거에는 먼 거리를 가는 저주파 대역(800~900㎒)이 황금주파수로 불렸지만, 현재는 광대역 기술 도입으로 많은 데이터를 실어나르는 중&midd
ot;고주파 대역이 선호된다.

각 통신사 사정에 따라 선호하는 주파수가 다르기도 하고 때로는 원하는 주파수가 겹칠 때도 있다. 한정 자원인 주파수는 정부가 방송·통신·공공용으로 나눠 관리한다. 2G(2세대) 3G(3세대) 통신용 주파수는 정부가 통신사의 사업 계획서를 사전 심사해 적합한 곳에 할당하는 방식이었다.

경매가 도입된 것은 2011년 8월 LTE(4세대)용 주파수를 분배하면서다. 한정된 자원인 주파수의 가치(가격) 산정을 시장에 맡기고, 투명하게 나눠주자는 게 경매제 도입의기본 취지다.


◆‘승자의 저주’ 걱정하는 통신사

2018년 6월 15일로 예정된 경매에선 2019년 5G 상용화 서비스에 사용될 주파수를 분배한다. KT는 2019년 3월 세계 최초의 5G 상용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2019년상반기에 5G 서비스를 시작한다.

2011년(1조6615억원) 2013년(2조4289억원) 2016년(2조1106억원) 등 지난 세 차례 주파수 경매에서 정부가 거둬들인 금액(주파수 낙찰금액)은 6조2010억원에 달한다. 통신사들이 정부에 내는 낙찰대금은 45 대 55 비율로 방송통신발전기금
과 정보통신진흥기금으로 각각 귀속된다.

이번 경매에 나오는 주파수 대역은 3.5㎓와 28㎓다. 경매 공급 대역폭은 각각 300㎒와 3㎓로 예상된다. 대역은 일종의 도로, 대역폭은 도로의 너비다. 업계가 예상하는 주파수 대역의 최저 입찰가격 총액은 3조원이다. 이는 최저입찰가격
일 뿐 3사의 베팅 경쟁이 불붙으면 낙찰액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2011년 경매 때는 SK텔레콤과 KT가 1.8㎓ 대역(20㎒폭)을 놓고 86라운드까지 가는 전쟁을 치렀다. KT가 마지막에 백기를 들면서 SK텔레콤이 최저 입찰가(4455억원)보다 두 배 높은 9950억원에 가져갔다. 2013년 경매에선 절치부심한 KT가
1.8㎓ 대역 확보를 위해 돈을 쏟아부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공동 전선을 구축해 KT를 견제했지만 역부족이었다. KT는 최저 입찰가격(2888억원)의 세배가량인 9001억원에 주파수를 따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