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스킬 이코노미: 변화하는 기술 시대의 생존 전략

시리즈 총 4화
2025.01.06

읽는시간 4

0

요약

□ 스킬 이코노미(Skill Economy)는 학력보다 실무 능력과 기술을 중시하는 새로운 노동 시장 패러다임으로, 기술 발전에 따른 직업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개념

• 스킬 이코노미의 등장은 디지털 기술 발전, 스킬 갭(Skill Gap)의 확대, 긱 이코노미(Gig Economy)의 성장,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촉발되었으며, 특히 기술 가치의 반감기 단축은 스킬이코노미의 도입 필요성과 그 중요성을 강조하는 요인으로 작용

• 혁신적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특정 기술의 유용성과 경쟁력이 유지되는 기간이 점점 짧아짐에 따라 기업과 개인은 지속적인 기술의 경신과 교체를 요구받게 됨

□ [스킬 피라미드(Skill Pyramid)] 기술 발전에 따라 기술의 가치와 중요도가 변화한다는 개념으로, 기술의 변천 과정과 시장에서 기술의 상대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 스킬 이코노미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 활용될 수 있음

[코모디티 기술] 기본적이고 보편적으로 통용되어 시장에서 더 이상 차별화가 되지 않는 기술. 엑셀 사용 능력은 과거 채용의 경쟁력이 되었으나 현재는 기본적인 요구사항으로 자리 잡음

[마켓터블 기술] 특정 직업군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개인이 공식적인 교육이나 인증을 통해 습득해야 하는 기술. 프로그래밍 능력은 일정 기간 채용의 경쟁력이었으나 기술 변화에 따라 곧 코모디티 기술로 전락할 수 있음

[니치 기술] 특정 분야나 직업군에서만 활용되는 고유하고 희소한 기술로 높은 경쟁력의 원천이 되며 개인이 스스로 습득해야 함. 인공지능(AI)이나 양자컴퓨팅은 현재 기업이 적극적으로 찾는 기술로 초기에는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습득해야 했지만 고수익을 보장

• 스킬 피라미드는 고정적이지 않고 기술 발전과 시장 요구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하며, 기술의 반감기와 전환 주기가 짧아지면서 어제의 니치 기술이 오늘의 마켓터블 기술, 내일의 코모디티 기술로 전락할 수 있음

□ [리스킬링(Reskilling)과 업스킬링(Upskilling)]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는 환경에서 기업이 기존 직원의 역량을 강화하여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이 생존을 위한 핵심 전략

• 과거에는 기업에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면 외부에서 적합한 인재를 영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기술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며 내부 직원을 성장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

□ [시사점] 스킬 이코노미 사회에서 기업은 전통적인 직무 중심의 조직 운영 방식으로는 기술 변화의 속도와 인재 시장의 요구를 따라잡기 어렵기 때문에 기술 기반 조직으로의 전환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업스킬링ㆍ리스킬링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

• 기술 기반 조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새로운 기술 도입 전에는 명확한 목표와 전략을 수립해야 함. 또한 직원이 필요한 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학습 문화를 조성하려는 노력도 필요

• 금융회사도 급변하는 업계 환경과 기술 발전에 대응하여 직원들이 현재 및 미래의 직무 요구에 맞춰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업스킬링과 리스킬링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함

송원호

KB경영연구소

송원호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