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화. 최근 일본증시 강세와 엔화 약세 배경 및 전망

2023년 7월 5일 경제 이슈 분석
시리즈 총 4화
2023.07.05

읽는시간 4

0

최근 일본증시는 강세, 엔화는 주요국 통화대비 약세를 지속

  • 2023년 일본 주식시장은 1980년대 후반 버블경제 붕괴 이후 역대 최대 호황을 시현
    *TOPIX와 Nikkei225지수는 연초대비 각각 21% 및 27% 급등
  • 한편 최근 엔화는 달러를 비롯한 주요국 통화들보다 유독 심한 약세를 보이는 상황
    *달러대비 엔화 가치는 연초대비 약 8.5% 절하되며 유로 (0.6% 절상)나 파운드 (3.2% 절상)와는 상반된 흐름, 원화 (4.1% 절하)보다도 더 약세

글로벌 주요국의 종합주가지수 추이

2023년 7월 5일, 글로벌 '종합주가지수'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증시 강세의 배경: 위험자산 선호심리, 기업실적 개선 기대, 기업가치 제고 정책

  • 최근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심리 (Risk Appetite)가 점차 되살아남에 따라 글로벌 증시는 강세로 전환, 이에 동조하여 일본증시도 상승세를 지속
  • 일본기업 실적 개선 기대와 일본 금융당국의 정책적 노력이 증시 강세를 뒷받침
    *최근 시장은 상향된 일본 경제성장률 전망과 엔저에 따른 기업의 해외보유 자산가치 상승, 일본 기업의 사업구조 다각화 등으로 향후 실적 개선을 기대
    *저평가된 일본 주가와 증권거래소의 기업가치 제고정책도 증시 상승세에 기여

엔화 약세의 배경: 재차 확대된 미-일 금리차와 악화된 외화수급 여건

  • 최근 미국과 일본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차별화로 인해 미-일 금리차가 재차 확대
    *미국 시장금리는 연준의 하반기 추가 금리인상 시사로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일본 시장금리는 BOJ의 완화적 기조 유지로 인해 소폭 하락하며 금리차가 확대
  • 금리차 확대로 일본 투자자의 자금이 해외 채권시장으로 대거 유출, 엔화 약세를 유발
  • 증시 호조로 인해 외국인 자금이 일본 주식시장으로 순유입되고 있음에도, 채권투자 자금이 더 많이 빠져나가며 전반적인 외화수급 여건은 악화
    *6월 24일 기준 연초부터 누적된 증권자금 순유출 규모는 약 510억 달러 수준

달러/엔 환율과 미-일 금리차 추이

2023년 7월 5일, 달러/엔 환율과 미-일 금리차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

일본증시 상승세는 한동안 지속, 달러대비 엔화는 4분기부터 강세 전환할 전망

  • 향후 일본증시는 기업실적 추가 개선에 대한 기대로 한동안 상승장이 유지될 전망
    *양호한 실적 모멘텀, 사업구조 개선, 자사주 매입 조치 등이 추가 상승 여력 제공
  • 엔화는 단기적으로 미-일 금리차가 더 확대되며 3분기까지는 약세 지속이 예상
  • 이후 미국 경기둔화에 따른 미국 금리 하락과 BOJ의 YCC 조정에 따른 일본 금리 상승으로 미-일 금리차 축소되며 4분기부터 엔화는 달러대비 강세로 전환할 전망

지속되는 엔저가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력은 과거보다 약화

  • 최근의 엔저가 한국의 하반기 수출 반등을 제약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
    *100엔당 원 환율은 2분기 956원에서 3분기 920원대로 추가 하락을 전망, 이에 따른 가격 경쟁력 약화로 하반기 수출 회복 전망에 대한 우려가 발생
  • 그러나 한국과 일본의 수출구조 변화와 한국 제품의 경쟁력 강화 등을 감안할 경우, 엔저가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력이 과거보다 약해졌을 가능성이 높음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한국 경제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결과와 최근 경제 이슈 정보를 빠르게 전달합니다.

이민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