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주차] 금융시장 전망(1)

시리즈 총 3화
2023.11.06

읽는시간 4

0

이번 주 지표

미국 노동시장 둔화 및 중국 제조업 경기 회복 여부에 주목

  • 미국: 미 연준은 금주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나, 예상보다 견조한 경제여건이 인플레이션 상승압력으로 이어질 경우 추가 인상에 나설 가능성 상존

  • 유로지역: 3분기 경제성장률은 0.3% (전년동기대비)로 낮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최근 독일 연방은행은 자국의 3분기 경제가 축소했을 가능성 언급
    *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저효과와 그동안 10회 연속 이어온 ECB 긴축 여파로 2년여 만에 3%대 진입 예상

  • 일본: 일본은행, 10월 31일 회의에서 마이너스 정책금리 (-0.1%) 기조 지속을 전망
    * 다만 당일 경제전망보고서에서 인플레이션 전망을 조정할 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조정이 있을 경우 향후 금리인상 및 YCC 폐지 가능성 커질 전망

  • 중국: 3분기 경제성장률이 4.9%로 시장예상을 상회한 가운데, 당국의 대규모 부양책도 발표된 영향으로 당분간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는 확장국면에 머물 전망

  • 한국: 자동차와 선박에 이어 그동안 부진한 흐름을 이어왔던 반도체 수출마저 개선되면서, 전체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플러스 전환 예상
    * 다만 국제유가 상승으로 원유 수입액이 늘면서 무역수지는 적자로 전환 예상

금주 주요 지표 전망치

'금주 주요 지표 전망치'를 나타낸 표, 달러/원 환율은 현재가 1,353원이며, 전망은 1,330~1,370원 사이일 것으로 보인다.

자료: KB국민은행

FX

미국은 금리동결, 일본은 정책 변화 기대, 환율은 하방 전망

  • 주초 일본 BOJ 금정위 회의와 주중 미국 FOMC 회의 등 이벤트가 예정

  • 미국은 금리 동결 등 완화적, 일본은 엔저 방어에 긴축적 정책 변화 가능성

  • 최근 달러 고점, 환율 상단 저항 지속, 금주 달러/원 1,350원 대에서 하방 압력 예상

금주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및 전망

'금주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및 전망'을 나타낸 표, 한국의 9월 산업생산지수는, 그동안 부진했던 수출이 점차 개선되며, 산업생산 역시 전년동월대비 플러스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됨.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