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복합관세율제도

compound tariff system

종가세와 종량세를 서로 합하거나 빼는 식으로 종합한 관세제도를 말한다. 복합관세율제도는 크게 이중관세율제도와 특혜관세제도로 구분된다. 이중관세율제도에는 고정복합세제도와 고정협정세제도가 있다.

고정복합세제도는 국내법으로 높고 낮은 2종류 이상의 관세율을 정하고 있는 경우를 말하는데 그 형식으로는 각 품목마다 높고 낮은 2종류의 세율을 관세율표에 표시하는 방법과 관세율표에는 일반적으로 낮은 세율을 정하고 이에 일정률을 부가하는 것을 세율로 정하는 방법이 있다.

고정협정세제도는 빈번히 이루어지는 국가간의 관세협정에 대응해서 협정세율을 신축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제도이다. 관세협정에 의해 호혜적으로 관세를 인하하는 경우 협상 참가국 또는 최혜국 대우를 규정한 국가에 대하여 인하된 세율을 적용하게 되지만 기타 국가에 대하여는 인하된 세율을 적용하지 않고자 하는 무역 정책상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가 있다.

한편 특혜관세제도는 특정국과의 무역거래를 증진시키기 위해 일정국에 한하여 공여하는 할인관세를말한다. 특혜관세제도에는 기존특혜와 일반특혜의 2가지 종류가 있다. 기존특혜 또는 지역특혜라는 것은 구식민지와 종주국 간에 거래되는 물품에 대해 타국으로부터의 수입물품보다 낮은 관세율을 적용하는 제도로서 영연방특혜가 그 전형적인 예이다. 일반특혜관세제도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무차별적으로 관세를 인하하여 특혜를 공여하는 것으로 선진국은 어떠한 대가도 받지 않고 일방적으로 관세특혜를 공여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부가가치세

value added tax

상품(재화)이나 서비스(용역)가 생산되거나 유통되는 모든 단계에서 얻어진 부가가치(마진)에 대해서 과세하는 세금이다. 구매자가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살 때 부가가치세 10%가 포함된 금액을 결제하면 판매자가 구매자를 대신해 세금을 신고·납부한다.
국세청에선 1년에 4번씩 부가가치세를 거둔다. 1월과 7월에 내는 것은 확정신고이고 4월과 10월에 내는 것은 예정신고다.

이렇게 걷는 부가가치세는 내국세의 35%선을 차지하는 등 세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어떤 세금보다도 크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부가가치세를 잘 느끼지 못한다. 부가세를 내러 세무서에 갈 필요도 없다. 부가세는 소비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세금이어서 경기가 좋을 때는 많이 걷히고 경기가 어려우면 적게 걷히는 ‘경기동행지수’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부가세는 전형적인 간접세로 1919년에 독일에서 1921년에는 미국에서 각각 제안됐다. 그러나 이를 실제로 도입, 시행한 나라는 이보다 훨씬 뒤인 1955년 프랑스였으며 영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에서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종래의 영업세, 물품세, 직물류세, 석유류세, 전기·가스세, 통행세, 입장세, 유흥음식점세 등의 8개 간접세를 통합, 부가세를 도입했다. 세율은 현재 10%의 단일세율로 하고 있다.

부가세는 물건을 사면서 부담한 세금과 팔면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은 세금과의 차액을 계산하여 내는 것이므로 이론적으론 사업자가 내는 게 아니라 최종소비자가 부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