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나이
만 나이는 출생일 기준 0세에서 시작해 생일이 지나면 1살을 더하는 방식이에요. 2000년 1월 1일생이 2024년 1월 1일에 만 24세가 되는 것처럼 매년 생일마다 만 나이가 바뀌어요.
작게
보통
크게
목차
이런 분들이 읽으면 좋아요
만 나이와 보험 나이
무엇이 다른가요?
만 나이는 출생일 기준 0세에서 시작해 생일이 지나면 1살을 더하는 방식이에요. 2000년 1월 1일생이 2024년 1월 1일에 만 24세가 되는 것처럼 매년 생일마다 만 나이가 바뀌어요.
보험 나이는 생일이 아닌 보험 상령일을 기준으로 바뀌어요. 상령일은 직전 생일부터 6개월이 지난 날짜를 의미하는데요. 예를 들어 2000년 1월 1일생이라면 매년 7월 1일이 보험 상령일로, 매년 이 날짜가 되면 자동으로 보험 나이가 한 살 더해져요.
즉, 계약일 기준 직전 생일부터 6개월이 지나지 않았다면 현재 만 나이가 보험 나이가 되고, 6개월 이상 지났다면 만 나이에 1살을 더해 보험 나이를 산정해요. 따라서 같은 생년월일이라도 보험 계약 시점에 따라 보험 나이가 다르게 나올 수 있어요.
보험 나이 따로 쓰는 이유
왜 보험 나이를 따로 쓸까요?
보험 나이를 별도로 계산하는 이유는 같은 연도에 태어난 사람이 생일 차이로 보험료가 달라지는 불합리함을 줄이기 위해서예요.
예를 들어 1984년 같은 해에 태어난 두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볼게요. 한 사람은 8월 31일생이고 다른 한 사람은 9월 2일생이에요. 두 사람이 9월 1일에 동시에 보험에 가입한다면, 생일이 이틀 차이임에도 한 사람은 만 41세, 다른 한 사람은 만 40세로 계산되어 서로 다른 보험료가 적용되는 불합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요. 이러한 형평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중간 기준선인 6개월을 설정한 것이죠.
보험 나이 계산 방법
어떻게 계산하나요?
보험 나이는 다음 세 단계로 계산하면 돼요.
예를 들어 1994년 4월 1일생이 2025년 9월 1일에 가입하는 경우를 살펴볼게요.
보험료는 나이가 많을수록 높아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보험사는 연령별 질병 발생률과 사고 위험도를 반영해 보험료를 산출하는데요.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신체 기능이 떨어지고 각종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앞서 설명한 1994년 4월 1일생의 경우, 2025년 9월 1일에 가입하면 보험 나이가 31세이지만 2026년 1월 1일에 가입하면 보험 나이가 32세로 올라갔기 때문에 보험료가 더 높아질 수 있어요.
상령일, 보험 나이 자주 묻는 질문
이런 점이 궁금해요!
🙅🏻 아니요. 보험 나이는 기존 방식 그대로 계산해요.
*사람의 생명이나 신체를 대상으로 하는 보험
💁🏻 보험에서는 생일 + 6개월 = 상령일을 기준으로 보험 나이를 정해요. 따라서 9월 10일 생이라면 상령일은 3월 10일이 되고, 그날을 기준으로 보험 나이가 1살 올라가요.
보험에 가입하려면 가입 심사 등 일정한 절차와 시간이 필요해요. 상령일이 되어 보험료가 오르기 전에 보험에 가입하고 싶다면 미리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아요.
AI가 만든 3줄 요약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