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은 어떤 나라의 돈과 다른 나라 돈을 바꿀 때 적용되는 교환 비율을 말해요. 쉽게 말해, 한 나라의 돈을 다른 나라의 돈으로 바꿀 때 얼마가 필요한지 알려주는 값이죠. 예를 들어, 달러 환율이 1,300원이라면 1달러를 사는 데 1,300원이 필요하다는 뜻이에요.
작게
보통
크게
목차
기업의 실적은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그중에서도 환율 변동은 해외 거래를 많이 하는 기업에게 큰 영향을 미쳐요.
오늘은 환율이 왜 기업 실적에 중요한 변수인지, 그리고 환율이 오르거나 내릴 때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쉽게 풀어드릴게요.
환율 뜻
환율이란?
환율은 어떤 나라의 돈과 다른 나라 돈을 바꿀 때 적용되는 교환 비율을 말해요. 쉽게 말해, 한 나라의 돈을 다른 나라의 돈으로 바꿀 때 얼마가 필요한지 알려주는 값이죠. 예를 들어, 달러 환율이 1,300원이라면 1달러를 사는 데 1,300원이 필요하다는 뜻이에요.
환율 변동이란?
환율로 보는 원화의 가치
환율 변동은 나랏 돈의 가치가 다른 나라 돈에 비해 오르거나 내리는 걸 말해요. 예를 들어, 1달러를 사려면 원래 1,300원이 필요했는데, 나중에 1,400원이 필요하게 되면 원화 가치가 떨어지고 환율이 오른 거예요.
같은 1달러를 사기 위해 더 많은 원화가 필요해요. 즉, 원화의 가치가 떨어졌다는 뜻이에요. 원화가 약해졌다(원화 약세)고도 해요.
같은 1달러를 사기 위해 적은 원화만 필요해요. 원화의 가치가 오른거예요. 원화가 강해졌다(원화 강세)고 표현하기도 해요.
환율 변동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수출 기업 vs 수입 기업, 실적이 달라지는 이유
같은 산업에 속해 있어도 수출 중심 기업인지, 수입 중심 기업인지에 따라 환율 변동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요.
해외에 제품을 파는 수출 중심 기업은 환율에 따라 매출이 바뀌고, 반대로 재료나 상품을 들여오는 수입 중심 기업은 환율이 변하면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달라져요.
환율 변동과 수요 변화
소비자와 기업 실적에 어떤 영향을 줄까?
환율이 오르면, 원화 가치가 떨어져요. 그러면 해외에서는 우리나라 제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싸져서 수출량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어요. 반대로, 환율이 떨어져 원화 가치가 오르면 해외 소비자는 우리 제품을 더 비싸게 느껴 수출량이 줄어들 수 있어요.
국내 자동차 기업 E사는 한국에서 자동차 1대를 3,600만원에 수출해요. 환율이 1,200원일 때는 해외 소비자가 약 3만 달러를 내면 이 차를 살 수 있어요.
만약 환율이 1,400원으로 오르면, 같은 가격의 차가 약 2만 5,700달러로 계산돼요. 반대로 환율이 1,000원으로 떨어지면, 약 3만 6,000달러가 있어야 이 차를 살 수 있어요.
👉 환율 상승은 해외에서 우리 제품의 가격이 내려간 것처럼 보여서, 실제 수요가 늘고 수출량이 증가할 수 있어요.
👉 반대로, 환율 하락은 해외에서 우리 제품의 가격이 오른 것처럼 보여서, 수요가 줄고 수출량이 감소할 수 있어요.
환율 변동에 따른 업종별 영향
어떤 업종이 유리하고, 불리할까?
환율이 변하면, 업종별 특성에 따라 실적에 미치는 영향도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환율이 오를 때, 수출 비중이 높은 업종은 일반적으로 매출과 이익이 늘어나고, 외화 비용 처리가 많은 업종은 오히려 부담이 커질 수 있어요.
업종 | 환율 상승 시 | 환율 하락 시 |
자동차, 반도체 | 수익 상승 | 수익 하락 |
조선 | 수익 상승 | 수익 하락 |
항공 | 수익 하락 | 수익 상승 |
여행 | 수익 하락 | 수익 상승 |
자동차나 반도체 업종은 대표적인 수출 중심 산업으로, 대금이 외화로 들어오기 때문에 환율이 오르면 유리합니다. 조선업 역시 배를 만드는 계약이 대부분 외화로 이뤄져 환율 상승 시 수혜를 받는 업종이에요.
반대로 항공이나 여행업계는 환율이 오르면 해외 여행 수요가 줄어들어서 실적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어요. 또, 항공업은 유가, 항공기 리스료, 정비 부품 등의 비용이 외화로 지출되기 때문에 환율이 오르면 부담이 커져요.
이처럼, 환율이 기업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업종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다만, 실적은 환율만으로 결정되는 게 아니라, 산업 경기, 수요 사이클, 공급망 상황, 제품 경쟁력 같은 다양한 요인이 함께 작용합니다.
환율 변동 대응 전략
기업들의 환헤지(Hedge) 전략
환율은 금리 차이, 무역수지, 세계 정치·경제 상황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움직여요. 전문가들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울 만큼 변동성이 크죠.
그래서 많은 기업들이 불확실성에 대비해 여러 대응 전략을 세웁니다. 그 중 대표적인 방법이 '환헤지(Hedge) 전략'이에요. 환율 변동으로 생길 수 있는 손실을 줄이기 위한 일종의 위험 관리 전략입니다. 선물 옵션을 활용해 환율을 정해두거나, 환율이 불리하게 바뀌었을 때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방식이에요.
선물환 계약 |
|
통화옵션 |
|
환 변동 보험 |
|
해외 공장 활용 |
|
거래 통화 다양화 |
|
외화 자산 외화 부채 관리 |
|
기업 환율 변동 영향과 대응 방법
💬 자주 묻는 질문
🙅 아니요.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은 유리하지만 수입 비중이 큰 기업은 오히려 비용이 늘어날 수 있어요.
💁🏻 기업 실적은 주로 분기 단위로 공시되기 때문에 환율이 바뀌더라도 그 영향은 일정 기간 누적된 후에 숫자로 드러나요. 보통은 분기 또는 반기 단위 실적에 반영돼요. 하지만 외환 관련 뉴스에 따라 주가에 먼저 반영되는 경우도 있어요.
💁🏻 대기업이나 글로벌 거래가 많은 기업은 환헤지를 자주 활용하지만 중소기업은 비용 부담이나 정보 부족으로 활용이 제한적일 수 있어요.
AI가 만든 3줄 요약
이 콘텐츠는 삼프로 TV와 함께 만들었습니다.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