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에너지 글로벌 동향

태양의 시대, 빛으로 설계하는 내일 2화
25.10.27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 전 세계 태양에너지 보급은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하며 재생에너지 확산을 주도

• 2022 년 전 세계 태양광 발전 설비 용량이 약 1,062GW 로 사상 처음 1,000GW(1TW)를 돌파하면서 태양광은 풍력과 함께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약 12%를 차지

• 2023 년에는 재생에너지 신규 설비가 전년 대비 50% 증가한 510GW 를 차지했으며, 그중 약 75%인 380~400GW 가 태양광으로 추정됨

○ 중국은 전 세계 태양광 발전 증가분의 과반을 차지하며 태양에너지 시장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임

• 중국 정부는 2010 년대 ‘황금 태양(Golden Sun)’ 보조금 사업과 발전차액지원(FIT)⁶ 제도를 도입해 내수시장을 활성화하고 토지와 금융을 지원해 태양광 발전 기업의 성장을 유도

• 전국 각지에 대형 태양광 단지를 조성하고, 내몽골 사막지대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와 수상 태양광 발전 단지 등 다양한 형태의 발전소 건설을 추진

• 그 결과 태양광 설비 신규 설치 용량이 2022 년 87GW 에서 2023 년 217GW 로 증가

- 단 1년 만에 미국의 태양광 누적 설치 용량(175GW)을 넘어서는 경이적인 성과를 거둠

○ 독일, 미국, 인도 등 태양광 발전 보급률 상위권 국가와 신흥국도 꾸준히 설비 용량을 증대

• (독일) 일정 가격으로 생산 전력의 구매를 보장해 태양광 누적 설치 용량 유럽 1 위를 달성

- 전체 발전량 중 태양광 발전 비중이 연간 10% 안팎을 기록.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 시설 설치량 급증에 따른 전력망 과부하와 보조금 부담 문제로 소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에 대한 출력 제어 의무화, 음(-)의 전기 가격 시 보조금 지급 중단 등의 보완 정책도 병행

2023년 국가별 태양광 발전 보급 현황

2023년 '국가별 태양광' 발전 보급 현황을 정리한 표이다.

주: 2024년 4월 기준 / 자료: 국제전기전자학회(IEEE)

중국 태양광 셀·모듈의 월별 수출 현황

'중국' 태양광 셀·모듈의 월별 수출 현황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료: BNEF

• (미국) 풍부한 태양광 자원과 기술력을 보유하고도 보급 정책 부재로 보급 속도가 더뎠으나, 재생에너지 투자세액공제(ITC)와 상업용 태양광 발전 설치 비용의 30% 공제 등으로 시장을 견인

- 2022년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10년간 태양광·풍력 설비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연장 및 확대하고, 북미산 부품 사용 시 추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강력한 지원책을 시행

- 2035년까지 전력 부문의 탄소 배출 제로화 목표를 선언하고, 태양광 설비를 현재 175GW에서 2030년 500GW 이상으로 대폭 확대할 계획

- 태양광 모듈 제조 부문에서 높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IRA를 계기로 자국 내 제조기반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활발

• (인도) 중국, 미국에 이어 세계 3 위 태양광 설치 용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입지 여건이 좋아 태양광 발전 단가가 매우 낮음

- 2022년 말 태양광 누적 설치 용량이 60GW를 돌파했고 2030년 280GW를 목표로 설정

- 대규모 경매 입찰로 가격 경쟁을 유도하고 있지만, 미국과 마찬가지로 중국산 모듈 의존도가 높아 자체 제조 시설을 육성 중

• (베트남·저개발국) 시행착오를 겪으며 개별 환경에 맞춘 설비로 보급 확대를 시도

- 베트남은 2019~2020년 발전차액지원 정책으로 단기간 9GW 이상을 설치하며 화제가 되었으나, 그리드7 부족으로 일부 발전이 제한됨

-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국가에서는 대규모 송전망보다 소규모 마이크로 그리드 태양광 발전 및 배터리로 농촌 전력화를 추진

- 케냐, 방글라데시 등에서는 태양광 홈시스템이 수백만 가구에 보급되어 전기를 처음 이용하는 국민이 증대

미국 주택용 태양광 설치량 추이

'미국' 주택용 태양광 설치량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료: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현대차증권

2022년 태양광 패널 국가별 생산 비율

2022년 '태양광 패널' 국가별 생산 비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료: 스태티스타(Statista)

⁶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 거래 가격이 정부 기준 가격보다 낮을 때 정부가 그 차액을 발전 사업자에게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제도

⁷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송전소·변전소·배전선을 통해 가정·공장·건물로 보내는 전력 전달망

※ 본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인 의견으로 KB경영연구소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인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