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광이 미래 에너지 체계의 중심축으로 부상하면서 전 세계는 ‘태양의 시대’를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한국도 이러한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비할 필요
• 태양광의 확산은 전력원 교체를 넘어 경제·사회 구조 전반의 생산성을 혁신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
- 값싸고 풍부한 전기는 산업 비용을 낮추고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전망
• 에너지 기본 계획,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 계획 등에 재생에너지 목표를 반영하여 일관되고 지속적인 정책을 추진할 필요
- 주민 참여형 사업 확대, 환경 영향 최소화 기준 마련 등을 통해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는 노력을 강화
- 전 국민이 재생에너지 전환의 필요성과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교육과 홍보를 병행
• 태양광으로의 전환은 산업계에 새로운 먹거리와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를 제공하는 만큼 정부 주도로 태양광 설비 산업을 육성해 국내외 수요를 확보할 필요
- 한화큐셀·현대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기업들이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만큼, 연구개발 지원과 금융 세제 혜택을 통해 글로벌 톱티어 기술력 유지 및 제품 개발을 독려
- 차세대 탠덤셀¹³, 고내구성 건물일체형태양광, 부유식 구조물 등 미래 유망 기술 분야의 선점이 필수
• 스마트그리드¹⁴·에너지 관리 등 에너지 정보통신기술(ICT) 솔루션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태양광 발전 확대로 동반 성장이 예상되는 그린수소¹⁵·친환경 철강 등 연계 산업에도 주목할 필요
- 중후장대(重厚長大) 산업에서 청정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제품을 생산해 부가가치를 증대할 기회를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