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9.7 부동산 대책 발표 살펴보니
지난 7일, 정부가 대규모 주택 공급 방안을 포함한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향후 5년간 서울과 수도권에 총 135만 호의 주택을 착공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연간 주택 공급 규모는 약 27만 호로, 매년 1기 신도시(30만 호) 하나가 새로 만들어지는 셈이죠. 기존 주택 공급 대책과 달리 인허가가 아니라 착공을 기준으로 해 정책 실효성을 높였다고도 설명했습니다.
2. 공급 대책, 왜 필요한데?
정부가 수도권 주택 공급을 서두르는 건 '공급 절벽'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입니다. 지난 2022년부터 부동산 경기가 침체하면서 주택 착공이 크게 줄었고, 내년부터 수도권 입주 예정 물량이 급감할 전망인데요.
내년 수도권 입주 물량은 11만 1,470여 가구로 최근 10년(2015~2024년) 평균치(약 14만 5천 가구)의 76%에 불과하죠. 특히, 서울 입주 물량은 올해 3만 1,300가구에서 내년 7,768가구로 대폭 줄어들 것으로 우려됩니다.
3. 이번 대책 주인공은 LH?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사업 전면에 내세워 주택 공급에 속도를 낼 방침입니다. 원래 LH의 역할은 아파트를 지을 땅을 마련한 뒤, 이를 건설사에 매각하는 데 그쳤는데요.
그러다 보니 부동산 시장 침체기엔 아파트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었죠. 반대로 호황기엔 막대한 개발이익을 건설사가 전유한다는 비판도 이어졌습니다. 이에 이번엔 LH가 직접 사업을 진두지휘해 이런 부작용을 최소화하겠다는 겁니다.
4. 수도권 남는 땅, 끌어모은다
주택 수요가 많은 서울 도심 지역에 주택 공급을 늘릴 방안도 발표됐습니다. 노후 공공임대주택이나 노후 공공청사, 미사용 학교용지 등을 개발하겠단 건데요. 이외에도 △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규제 완화 △ 1기 신도시 정비사업 개선 △ 소음기준 등 주택사업 규제 개선 △ 신축 매입임대 및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착공 등의 내용도 이번 대책에 담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