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지원금 대상, 신청 방법 | 온누리상품권 추석 할인 혜택은?

2025 추석 민생안정대책 알아봐요
25.09.25
읽는시간 0
0

작게

보통

크게

목차

3줄 요약

  • 추석 지원금은 명절을 앞두고 정부와 지자체가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주는 지원금이에요.
  • 정부 지원을 받아 사과와 배, 고기 등 추석 성수품을 최대 50% 저렴하게 살 수 있어요.
  • 추석 연휴 기간 궁, 미술관, 국립휴양림, 수목원 등 주요 관광지도 무료 개방해요.

2025년 추석이 다가왔어요.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의 영향으로 침체했던 경기가 되살아나는 분위기인데요. 추석 명절을 맞아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명절 지원금을 주기로 했어요. 정부도 경기 회복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내놨는데요. 추석 지원금 대상과 신청 방법, 추석 민생안정대책과 혜택을 살펴볼게요.

“추석 지원금 대상, 신청 방법 | 온누리상품권 추석 할인 혜택은?” 보라색 쟁반 위에 추석 송편으로 보이는 떡이 여러 개 있습니다.

명절 지원금

추석 지원금 대상, 신청 방법

추석 지원금이란?

추석 지원금은 추석 명절을 앞두고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주는 현금 또는 기타 형태의 지원금을 말해요. 지역에 따라 명절 위로금, 명절 지원금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해요.

추석 지원금 대상

추석 지원금은 지역에 따라 대상이 다른데요. 주요 대상은 다음과 같아요.


  • 기초생활수급자: 기초생활수급자는 소득이나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생계 유지가 어려운 사람으로,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 등 최소한의 생활을 국가로부터 지원받는 사람
  • 차상위계층: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가구
  • 지역 주민: 특정 지역에 주민 등록이 돼 있는 사람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사례

서울시와 경기도 등 일부 지역의 취약계층은 추석 지원금을 받아요. 주요 지역의 사례를 볼게요.


  • 서울시 강남구: 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기초의료급여 수급자는 6만원, 차상위계층, 주거 및 교육급여 수급자에게 가구당 5만원을 받아요.
  • 서울시 은평구: 기초생계·기초의료 수급 가구는 별도 신청 없이 가구당 4만원의 명절 위문금을 받아요.
  • 경기도 화성시: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는 별도 신청 없이 가구당 10만원씩 명절 위로금을 받아요.
  • 경기도 안성시: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장애인가구는 별도 신청 없이 명절 지원금 3만원을 받아요.

지역 주민 지원금 사례

지역 주민에게 추석 지원금을 주는 지자체를 살펴볼게요.


  • 전북 고창군: 9월 15일을 기준으로, 최소 1개월간 주민등록이 돼 있는 군민은 1인당 20만원씩 ‘군민활력지원금’을 받아요. 신청은 읍·면 행정복지센터에서 할 수 있어요.
  • 전북 부안군: 지난 8월 12일 기준 부안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신청일까지 부안군에 계속 사는 군민은 1인당 30만원의 민생안전지원금을 받아요. 지난 15~17일 이미 현장 지급을 마쳤는데요. 해당 기간에 미처 받지 못한 주민들은 10월 31일까지 주소지 읍·면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선불카드를 신청할 수 있어요.
  • 전남 영광군: 영광군민은 1인당 50만원씩 민생경제회복지원금을 받아요. 지난해 12월 27일부터 신청일까지 영광군에 주소를 둔 군민이 대상인데요. 10월 17일까지 읍·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면 돼요.
  • 전남 화순군: 화순군민은 1인당 10만원의 ‘민생안전지원금’을 받아요. 9월 22일부터 10월 31일 사이에 읍·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

추석 지원금 신청 방법

추석 지원금 신청 방법은 지자체마다 다른데요. 일부 지역은 조건이 되면 별도 신청 없이 자동으로 받을 수 있어요. 대부분 지역은 읍·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추석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고요.

2025 추석민생안정대책

추석 할인 대상 성수품, 온누리상품권 혜택은?

정부는 추석 물가를 잡기 위해 전통시장을 비롯한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유통 채널에서 900억원 규모의 할인 행사를 지원해요. 사과와 배, 고기 등 추석 성수품을 최대 50%까지 저렴하게 살 수 있어요.

온라인·대형마트 할인 혜택은?

온라인 쇼핑몰은 홈페이지에서 할인 쿠폰을 받을 수 있고, 오프라인 대형 마트는 계산 시 자동으로 할인이 적용돼요. 정부 지원 20%에 업체 자체 할인이 더해져 최대 40%까지 저렴하게 살 수 있는데요. 업체별로 1인당 최대 2만원을 할인받을 수 있고, 한도는 매주 새로 적용돼요. 농축수산물 지원 행사는 10월 5일까지, 수산물 할인 지원 행사는 10월 12일까지 이어져요.

온누리상품권 추석 혜택은?

오프라인 전통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구매하면 환급받을 수 있고, 제로페이 모바일상품권으로 할인을 받을 수 있어요.


  • 온누리상품권: 전통시장에서 물건을 구매한 후 영수증을 제출하면 현장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을 받을 수 있어요. 최대 30%까지 환급되고, 1인당 2만원 한도로 10월 1~5일 사이에 한 번만 이용할 수 있어요.
  • 제로페이: 제로페이 모바일상품권 선할인 구매도 가능해요. 농축산물 상품권은 30%, 수산물상품권은 2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할인 한도는 각각 3만원, 2만원이고, 온누리상품권과 마찬가지로 한 번만 적용돼요. 농축산 상품권은 9월 22일부터 30일 사이에 살 수 있고, 수산물 상품권은 9월 11일부터 10월 2일까지 매주 목요일에 살 수 있어요.

전통시장 온라인몰도 할인받아요

전통시장 온라인몰에서 쿠폰을 받으면 최대 30% 할인받아 살 수 있어요. 매주 3만원 한도로 할인받을 수 있고요.

서민금융, 근로·자녀장려금, 취약계층 지원 확대

추석 맞이 취약계층 지원 방안

서민·청년층 금융 지원해요

정부는 추석 전후 두 달 동안(9월 5일~11월 5일) 1,145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에도 나서요. 대학생·취업 준비생 등을 위한 소액 대출 상품인 ‘햇살론 유스’에 400억원을 지원하고, 연 소득 3,500만원 이하, 신용점수가 하위 20%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100만원 한도의 ‘불법사금융 예방 대출’에도 200억원을 투입해요. 대출금을 모두 갚은 사람은 최대 100만원을 추가로 대출을 받을 수 있고요. 한편, 저소득 가구를 대상으로 한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도 법정 지급 기한보다 한 달 이른 8월 28일에 지급했어요.

💡 햇살론 유스란?

햇살론 유스란 현금 지원이 필요한 청년들이 학업, 취업, 창업 준비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정부가 보증을 서주는 대출 상품이에요. 소득이 낮아 일반 신용대출이 어려운 청년들이 이용할 수 있어요.

취약계층 생활 지원 강화해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도 두터워져요. 기존에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정부가 비축한 쌀을 10kg당 만원에 공급했는데요. 올해 10~12월에는 쌀 10kg을 20% 할인한 8,000원에 공급해요.

또 소득에 비해 병원비 부담이 큰 가구를 위해 재난적 의료비 지원 규모를 1,404억원에서 2,004억원으로 600억원 확대해요.

중소기업, 소상공인 지원해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위한 민생안정대책도 있어요. 정부는 명절 기간에 시장에 돈이 더 많이 돌게 하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43조 1,700억원을 공급할 예정이에요. 또 기존 61조원 규모의 대출 및 보증 만기도 연장돼, 소상공인의 자금 부담이 한층 줄어들 예정이에요.

세금과 공과금 부담도 완화돼요. 경영 위기를 겪는 소상공인과 수출 중소기업들은 부가가치세·관세 환급금을 더 빨리 받을 수 있고, 법인세 등 국세 납부 기간도 미뤄져요. 또 상시근로자가 30명 미만인 사업장은 10월부터 12월까지 고용·산재보험료 납부가 유예되죠.

전통시장 상인, 금융 지원해요

전통시장 상인들을 대상으로는 7월 21부터 10월 2일까지, 추석 연휴 전 약 두 달 동안 총 50억원 규모의 성수품 구매 지금을 저금리로 지원해요. 서민금융진흥원이 전통시장 상인회에 대출자금을 무이자로 빌려주고, 상인회가 이 자금을 연 4.5% 이하 수준의 금리로 시장 상인에게 대출해 주는 방식인데요. 상인회는 최대 2억원, 상인은 개인·점포당 최대 1,0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요.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관광지 무료 개방

교통비 덜고 문화 시설 무료로 입장해요

추석 연휴 기간 지역 경제를 살리고, 국민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책도 있어요.

교통비·주차 부담이 줄어들어요

10월 4일부터 7일까지, 추석 연휴 4일간 고속도로 통행료가 전액 면제돼요. KTX와 SRT는 추석 당일을 제외하고 10월 2일부터 12일까지 역귀성 할인(30~40%)과 4인 정액 할인을 받을 수 있고요.

또 10월 4일부터 8일까지는 연안 여객터미널에 무료로 주차할 수 있어요. 이 밖에도 초·중·고 운동장과 행정기관·공공기관 주차장이 무료로 개방되고, 전통시장 주변 도로에도 최대 2시간까지 주차할 수 있어요.

관광지와 문화시설 무료 개방해요

추석 연휴 기간 여러 관광지와 문화시설을 무료로 개방해요.


  • 국가유산: 궁, 능, 유적기관 등을 10월 3일부터 9일까지 무료 개방해요.
  •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덕수궁·청주관은 10월 5일부터 8일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어요. 서울관은 10월 5, 7, 8일 총 3일간 무료 개방해요.
  • 국립자연휴양림: 10월 6일부터 8일까지 무료로 입장할 수 있어요.
  • 국립수목원: 10월 3일부터 9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국립한국자생식물원, 국립정원문화원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어요. 단, 추석 당일은 쉬고, 국립수목원(광릉)은 무료 개방을 하지 않아요.

명절 지원금, 추석 민생안정대책

추석 지원금 자주 묻는 질문

성수품 할인, 언제부터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온라인 쇼핑몰과 오프라인 마트에서 성수품을 할인받아 살 수 있는데요. 농축산물은 9월 15일부터 10월 5일까지, 수산물은 9월 17일부터 10월 12일까지 할인받아 살 수 있는데요. 10월 1일부터 5일까지는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도 진행돼요.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환급,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농축산물과 수산물 각각 구매액이 34,000원 이상, 67,000원 미만이면 만원을 환급받을 수 있고, 67,000원 이상이면 2만원을 환급받을 수 있어요.

추석 성수품 할인하는 곳,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농축산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축산물 할인지원 홈페이지에서, 수산물은 대한민국 수산대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이 콘텐츠는 9월 25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비즈니스/경제 뉴스 미디어 '데일리바이트'에서 제공받아 제작된 콘텐츠입니다.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등을 참고했습니다. 이 콘텐츠의 지식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 복제, 배포, 전송, 대여가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