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게
보통
크게
목차
대출 상환 뜻
대출 상환은 빌린 돈(원금)과 이자를 정해진 기간 동안 나눠서 갚는 것을 말해요. 같은 금액을 빌려도 어떻게 갚느냐에 따라 상환 방식이 달라져요. 대표적인 대출 상환 방식에는 ▲원금 균등 상환 ▲원리금 균등 상환 ▲만기 일시 상환이 있어요.
원금 균등, 원리금 균등, 만기 일시
대출 상환 방식 3가지 비교하기
원금 균등 상환이란, 매달 같은 금액으로 원금을 나눠서 갚는 방식이에요. 이자는 남은 원금에 따라 계산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줄어들어 매달 갚아야 하는 상환액도 적어지죠. 매달 내는 돈이 줄어든다는 건 장점이지만, 초반에 내는 금액이 크다는 건 단점이에요.
👍 이런 분께 추천해요!
초기 자금 여유가 있고, 장기적으로 이자를 아끼고 싶은 분
원리금 균등 상환은 원금과 이자를 합친 금액을 매달 일정하게 갚는 방식이에요. 매달 내야 하는 금액이 같으니까 자금을 관리하기 쉽죠. 하지만, 총 이자 금액은 원금 균등 상환 방식보다 많을 수 있어요.
👍 이런 분께 추천해요!
매달 일정한 금액을 계획적으로 갚고 싶은 분
만기 일시 상환은 대출 기간 동안 이자만 내다가, 만기일에 원금을 갚는 방식이에요. 대출 기간 중에는 이자만 갚으면 된다는 장점이 있어요. 대신 갚아야 하는 원금이 그대로니까 이자도 많이 내야 하고, 만기에 원금을 한 번에 갚아야 하는 것도 부담이 될 수 있어요.
👍 이런 분께 추천해요!
단기 자금이 필요하거나, 만기에 갚을 자금을 확실히 마련할 수 있는 분
원금 균등 상환, 원리금 균등 상환, 만기 일시 상환 외에도 조금 더 유연하게 대출금을 상환할 수 있는 방식이 있어요. 이런 방식은 보통 특정 대출 상품에만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요.
대출 이자 계산하기
납입 금액, 얼마나 다를까요?
같은 금액과 금리로 대출을 받더라도, 상환 방식에 따라 부담해야 할 총 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요. 예시를 통해 비교해볼게요.
※ 이해를 돕기 위해 단순하게 계산한 예시이며 실제 납부 원리금은 금리 적용 방식, 상환 주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원금 균등 상환
| 대출기간 | 원금 | 이자 | 상환금액 | 대출잔액 |
| 1년 | 2,000만원 | 500만원 | 2,500만원 | 8,000만원 |
| 2년 | 2,000만원 | 400만원 | 2,400만원 | 6,000만원 |
| 3년 | 2,000만원 | 300만원 | 2,300만원 | 4,000만원 |
| 4년 | 2,000만원 | 200만원 | 2,200만원 | 2,000만원 |
| 5년 | 2,000만원 | 100만원 | 2,100만원 | 0원 |
| 합계 | 1억원 | 1,500만원 | 1.15억원 | - |
원리금 균등 상환
| 대출기간 | 원금 | 이자 | 상환금액 | 대출잔액 |
| 1년 | 1,810만원 | 500만원 | 2,310만원 | 8,190만원 |
| 2년 | 1,900만원 | 410만원 | 2,310만원 | 6,290만원 |
| 3년 | 1,995만원 | 315만원 | 2,310만원 | 4,295만원 |
| 4년 | 2,095만원 | 215만원 | 2,310만원 | 2,200만원 |
| 5년 | 2,200만원 | 110만원 | 2,310만원 | 0원 |
| 합계 | 1억원 | 1,550만원 | 1.155억원 | - |
만기 일시 상환
| 대출기간 | 원금 | 이자 | 상환금액 | 대출잔액 |
| 1년 | 0원 | 500만원 | 500만원 | 1억원 |
| 2년 | 0원 | 500만원 | 500만원 | 1억원 |
| 3년 | 0원 | 500만원 | 500만원 | 1억원 |
| 4년 | 0원 | 500만원 | 500만원 | 1억원 |
| 5년 | 1억원 | 500만원 | 1.05억원 | 0원 |
| 합계 | 1억원 | 2,500만원 | 1.25억원 | - |
선택할 때 고려할 사항
대출 상환 방식을 고를 때는 여러 조건도 꼼꼼히 확인하고 선택해야 해요. 특히 아래의 3가지를 꼭 체크하세요.
거치 기간이란 대출 초기에 원금은 갚지 않고 이자만 내는 기간을 말해요. 이 기간에는 월 부담이 줄어들지만, 거치 기간이 끝난 뒤에는 상환액이 확 늘어나니 미리 대비해야 해요.
(예시) 2년 거치, 3년 상환 → 처음 2년은 이자만, 이후 3년은 원금과 이자를 갚음
대출을 만기일보다 빨리 갚으면 수수료가 붙을 수 있어요. 보통 대출 실행일로부터 3년 이내에 상환하면 발생해요. 중도 상환 수수료 발생 기간과 수수료율은 대출 상품에 따라 다르니 계약 전 확인하세요.
고정금리인지, 변동금리인지에 따라 내야 하는 이자가 달라질 수 있어요. 고정금리는 대출 기간 내내 같은 금리가 적용돼요. 금리가 바뀌지 않는 대신 초기에 금리가 높게 설정될 수 있어요. 변동금리는 변동 주기에 따라 금리가 달라져요. 금리가 오르면 이자도 늘어나기 때문에 이에 대비해야 해요.
대출 상환 관련
💬 자주 묻는 질문
처음 계약한 상환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금융기관 정책이나 상품에 따라 일부 변경이 가능한 경우도 있어요.
🙆 네. 대출을 중간에 갚으면 남은 기간 이자 부담은 줄어요. 그러나 대출을 예정보다 빨리 갚으면 중도 상환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으니 조건을 먼저 확인해보세요.
같은 금액을 갚더라도 초반엔 원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어서 원금이 천천히 줄어들다 보니 이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붙어요.
꼭 그렇진 않아요. 총 이자 부담이 적은 대신, 초기 상환 금액이 큰 편이거든요. 초반 납입 금액이 커서 부담된다면, 월 부담 금액이 동일한 원리금 균등 상환 방식이 나을 수 있어요.
상품마다 달라요. 일부 대출 상품은 거치 기간이 있거나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어요. 거치 기간이 없는 대출 상품도 있고요. 거치 기간을 설정하면 초반 부담은 줄지만, 총 이자 부담은 늘 수 있어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