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마법공식

영업이익(EBIT) 대비 기업가치(EV)가 낮고, 자본수익률(ROC·영업이익/투자자본)이 높은 20~30개 종목에 투자하는 방법이다.
미국의 전설적인 헤지펀드 투자자 조엘 그린블라트가 사용해 유명해진 기법이다.
큰 틀에서 보면 우량한 기업 주식을 싸게 사는 가치 투자 방법이다.
그린블라트가 사용한 자본수익률 산정 공식은 ‘법인세전이익(EBIT)/(유동자산-유동부채) (비유동자산-감가상각비)’다. 유동자산은 1년 이내에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 유동부채는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채무를 말한다. 비유동자산은 고정자산 등 현금화하는 데 1년 이상 걸리는 자산을 의미한다. 감가상각비는 공장이나 기계설비와 같은 고정자산 가치가 시간이 지나면서 떨어지는 만큼을 가격으로 환산한 것이다.

그린블라트는 이와 함께 이익수익률이 높은 우량 기업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이익수익률 공식은 ‘EBIT/(시가총액 순차입금)’이다. 여기서 순차입금은 총차입금에서 보유 현금유동성을 차감한 것이다. 그는 “마법공식은 가능한 한 가장 싸거나 가장 우수한 것만으론 부족하다”며 “가격과 우수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갖춘 최상의 기업을 찾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린블라트는 단순한 이 공식을 가지고 헤지펀드 매니저로 활동한 20년간 8만3600%의 누적 수익률을 올렸다.

그의 방법론은 수학적, 통계적인 기법을 활용해 투자 종목을 발굴하는 퀀트 투자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그린블라트는 1985년 고담캐피털이라는 헤지펀드를 설립했다. 2005년까지 이 펀드를 운용하면서 연환산 복리수익률(CAGR) 40%를 기록했다. 1985년에 1억원을 투자했다면 복리로 836억원의 수익을 낼 수 있었던 셈이다.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은 너무 단순한 까닭에 그의 주장대로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 제기돼 왔다. 하지만 그의 투자전략은 미국뿐 아니라 한국 주식시장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블라트의 전략을 토대로 종목을 선정해 모의투자한 결과, 2002년(블룸버그 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시점)부터 작년까지 누적수익률 기준으로 코스피200지수 수익률을 두 배 가까이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마법공식 종목은 우량주 위주의 코스피200지수에 편입된 종목 중 자본수익률과 이익수익률을 기준으로 각각의 순위를 부여한 뒤 평균을 내 상위 20% 종목을 추렸다. 2002년부터 3월 말 결산 기준 실적을 가지고 매년 4월 1일 리밸런싱(종목 교체)하는 방식으로 추산했다.

그 결과 그린블라트 전략의 16년 누적 수익률은 477%였다. 연환산 복리로 19.58%의 수익률이다. 같은 기간 코스피200지수는 226% 올랐다. 마법공식은 하락장보다는 상승장에서 큰 효과를 발휘했다. 2008년이나 2015년처럼 국내 주식시장이 부진할 때는 마법공식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더 안 좋았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브레이크스루상

Breakthrough Prize

소셜미디어인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투자해 큰돈을 번 러시아 벤처투자자 유리 밀너가 제안해 미국 실리콘 밸리의 IT기업 경영자들과 공등으로 만든 상.
기초물리학, 생명과학 그리고 수학 등 3개 분야에서 뛰어나 성과를 이룬 개인이나 팀에게 시상을 한다.

본상과 별도로 13~18세 학생에게 ‘주니어 브레이크스루 챌린지’ 등을 시상한다.

과학의 아카데미상’ ‘실리콘밸리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이 상은 수상자 한 명에게 돌아가는 상금이 최대 300만달러(약 32억원)로 노벨상 상금의 세 배에 가깝다.

물리학과 생명과학 분야에서 광범위한 진보를 이룬 과학자, 수학 분야에서 획기적 성과를 낸 수학자,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중력파 연구자와 유령입자로 알려진 중성미자 검출에 이바지한 과학자 등이 브레이크스루상을 받았다.

이 상을 운영하는 브레이크스루상재단은 ‘브레이크스루 이니셔티브’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인류의 상상력을 태양계 바깥으로 확장하는 네 가지 획기적인 연구도 지원하고 있다.

최근 타계한 영국의 천재 천체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케임브리지대 교수, 밀너, 저커버그 주도로 2016년 출범한 ‘브레이크스루 스타샷 프로젝트’가 그중 하나다. 3만 년 걸리는 우주 항해를 20년 만에 주파하는 우주돛단배를 건조하는 1억달러 규모 프로젝트다.

브레이크스루상재단은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을 찾는 ‘브레이크스루 워치’, 태양계 바깥에서 지적생명체의 소리를 듣는 ‘브레이크스루 리슨’, 외계 생명체에게 지구를 대표할 정보를 담아 전해줄 메시지를 설계하는 ‘브레이크스루 메시지’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