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미세조류

미세조류는 단세포 형태의 크기가 매우 작은 생물집단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이라 불린다. 미세조류는 미역, 다시마와 같은 크기가 비교적 큰 다세포 생물집단을 의미하는 대형조류와 함께 수생 환경에서 광합성을 하는 생물이다. 미세조류는 현재 10만 종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미세조류는 2000년대 이후 에너지, 산업소재 생산, 온실가스 저감 분야 등에서 잠재적 가능성을 인정받아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미세조류를 화석연료의 대체에너지로 언급하면서 엑손모빌, BP, 바스프, 릴라이언스 등 글로벌 기업들이 미세조류를 활용한 에너지 분야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미세조류는 자기 몸무게의 2배 정도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광합성에 이용한다. 그리고 배양을 통해 여러 가지 탄소 기반의 유용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광합성을 하는 단세포 생물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미세조류 활용이 확대될 3대 분야로 에너지, 화학, 환경 분야를 꼽았다. 에너지 분야에서 미세조류는 모든 바이오디젤 생산 작물 중 오일 생산성이 가장 우수하다. 식량 자원의 에너지화라는 비판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다. 화학 분야에서는 미세조류를 활용한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 중이다. 현재는 클로렐라, 스피룰리나와 같이 식품 분야에서 생산이 가장 활발히 이뤄진다. 앞으로 바이오플라스틱, 의약품, 화장품 원료 등의 분야로 생산이 확대될 전망이다. 또 중금속 등으로 오염된 토양 및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어 이산화탄소 저감 및 공장폐수 정화 사업 등에서 관련 기술개발 시도가 확대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이탈렉시트

Italexit

이탈리아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에서 탈퇴하는 것.
2018년 5월 하순 들어 반(反)EU 전선을 형성한 ‘오성운동’과 최대 야당 ‘리가(동맹)’가 연정 구성을 앞두고 친(親)EU 성향의 세르조 마탈리 대통령과 충돌했다. 연정 구성이 지연되면서 7월 재선거 얘기까지 나온다. 오성운동이나 리가가 다시 선거에서 이기면 ‘이탈렉시트(이탈리아의 EU 탈퇴)’가 현실화될 조짐이다. 이탈렉시트 우려로 인해 한때 세계 주가가 출렁거리기도 했다.

일부 전문가는 이번 위기가 ‘그렉시트(그리스의 EU 탈퇴)’ 우려를 낳았던 2012년 유럽 재정위기와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이탈리아가 위기에 빠지면 그리스와는 비교할 수조차 없다. 그리스 구제금융에는 총 2500억유로의 자금이 들어갔다. 이탈리아는 유로존 3위 경제대국이며 국내총생산(GDP)이 그리스의 10배다. 이탈리아가 재정위기에 빠지면 국제통화기금(IMF)이 최대 5000억유로, 유럽안정화기구(ESM)가 4000억유로를 쏟아부어도 부채 구제가 어려울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이탈리아는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132%로, 그리스에 이어 유로존에서 두 번째로 높다.

이탈리아는 1990년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과 헬무트 콜 독일 총리가 맺은 유럽 통합에 적극 환영했다. 1996년에 들어선 중도·좌파 연합 정부는 통화 안정을 목적으로 유로화 통용을 인정했다. 당시 가장 많이 평가절상된 화폐의 하나가 이탈리아 리라였다.

이탈리아인들은 여행을 가거나 값싼 수입품을 구매하는 등 화폐 절상의 단맛을 누렸지만 이탈리아산 제품은 경쟁력을 잃게 됐다. EU 역내에서 이탈리아의 가치사슬은 경쟁력을 갖지 못했고 오히려 독일 제품의 소비처가 돼 버렸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PHIGS

Poland, Hungary, Italy, Greece, Spain

폴란드, 헝가리,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2018년 6월 미국의 CNN이 유럽연합(EU) 위기의 진앙이 될 수 있다고 지목한 국가들이다.
2012년 촉발된 남유럽발 재정위기는 그리스, 스페인 등의 막대한 부채와 만성 재정적자, 금융회사 부실이 원인이었다면, 2018년에는 EU와 개별 국가의 정치적 대립이 위기의 뇌관 역할을 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서민 복지를 앞세운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 정당 ‘오성운동’과 EU의 난민정책에 반기를 든 극우정당 ‘동맹’이 연정을 통해 서유럽 최초의 반(反)EU·포퓰리즘 정권을 탄생시켰는데 이들은 기본소득 도입, 감세, 연금 확대를 추진하고 있어 이탈리아 재정 불안이 가중될 것이란 우려가 크다.
스페인은 오성운동과 비슷한 성향의 ‘포데모스’와 ‘시민당’ 등이 급부상하고 있다. 경제 상황은 6년 전 재정위기 때보단 나아졌지만 실업률은 여전히 높다고 CNN은 지적했다.
그리스는 2018년 8월20일 유럽중앙은행(ECB)과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 프로그램이 끝난다. 그러나 부채가 2800억달러(약 300조원)나 남아 있는 게 변수다.
폴란드와 헝가리는 재정의 상당 부분을 EU에 의지하고 있다. 하지만 난민정책과 인권·민주주의 논란으로 EU와 정면출동하고 있다.
유럽 주요 국가에서 악재가 불거지면 PHIGS는 연쇄적으로 불안정해질 수 있다고 CNN은 예상했다. 유럽 재정에 악영향을 미칠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협상이 진행 중이고, 독일에선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우익 포퓰리즘 정당의 압박을 받고 있다. EU는 미국과도 통상갈등을 빚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캔버싱

canvassing

후보자와 열성 당원, 자원봉사자들이 선거구 내 유권자들의 자택을 일일이 방문해 문을 두드려 직접 만나는 영국 선거 방식이다.
영국이 법정선거비용을 제한한 데다 확성기와 유세차 사용, 합동연설회, 벽보 부착 등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굳어진 선거운동 방식이다. 한국에서는 후보나 선거 운동원의 가정방문이 법으로 금지돼 있지만 영국 미국 등 일부 서방 국가에서는 캔버싱이 광고와 함께 선거운동의 기본이다.
캔버싱은 일일이 넓은 지역을 다 다녀야 하는 만큼 강인한 체력과 인내심이 필요하다. 대신 돈은 한 푼도 들지 않는다. 공식 선거운동 기간 운동원들에게 일당 및 다과를 제공하는 한국과 달리 영국에서는 후보를 돕는다고 해서 금전적 보상이 따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재산이 많지 않아도 능력과 패기만 갖추고 있다면 정치 신인 누구나 카운슬러가 될 수 있다. 그나마 얼마 들지 않는 선거자금조차 후보자 소속 정당이 모두 지원한다.

캔버싱은 중도층을 향해 전략적으로 이뤄진다. 각 당은 수차례 선거를 치르면서 축적된 유권자 성향조사서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 변화된 유권자 거주 동향, 지지 성향 등을 파악한다. 이런 식으로 선거마다 갱신된 유권자 정보는 다음 선거에서 당의 귀중한 자산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