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점] AI 규제의 필요성과 도입 사례, 그리고 이를 둘러싼 갈등

AI 규제의 필요성과 도입 사례, 그리고 이를 둘러싼 갈등 4화
시리즈 총 5화
2024.12.23

읽는시간 4

0

■ AI가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현시점에서 그 한계를 인정해야 하며, AI의 긍정적인 부분을 인정함과 동시에 부정적인 면을 직시하여 적절한 규제 체계를 갖출 필요

○ 생성형AI는 인간의 대화를 이해하고 답변하는 지능을 갖춘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단순히 확률에 기반한 답변을 생성하는 것에 불과하여 근본적으로 오류를 내포하고 있음

 

• AI 모델은 언어의 기본 구조와 논리를 이해하지 못하며, AI가 생성하는 텍스트는 단지 특정 단어가 나오면 그다음에 나올 단어 중 가장 높은 확률을 가진 단어를 이어 붙이는 것에 지나지 않음

○ 대니엘 앨런(Danielle Allen) 하버드대 교수 등은 AI 기술이 경제ㆍ정치ㆍ사회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규제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

 

• AI가 생성한 가짜 정보가 확산되면 민주주의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일자리 감소를 비롯한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
 

• 과거 유전자 기술의 가능성이 확인되고 수많은 실험들이 시도된 시기와 마찬가지로, AI에 대해서도 더 안전하고 책임 있는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지침이 필요함을 역설

○ 다만, EU 및 미국 사례와 같이 효과적인 AI 규제 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방향이 도출되지 않음

 

• 현재로서는 AI 개발 또는 활용을 불법으로 규정할 수도, AI에 대한 완벽한 규제 체계를 마련할 수도 없는 상황
 

• 각국은 AI에 기반한 혁신과 AI로 인한 리스크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기 위해 노력 중

■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의 특징을 감안할 때 섣부른 규제는 혼란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명확하고 간결한 규제 체계를 단계적으로 수립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

○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각국 정부는 적절한 규제 체계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는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AI에 대한 규제 체계 마련은 매우 어려운 과제임을 지적
 

- 각국 정부는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초래되는 정치적ㆍ사회적ㆍ경제적 환경 변화에 거의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
 

• 라나 포루하(Rana Forooha)⁵ 《파이낸셜타임스》 칼럼니스트는 각국 정부가 AI 기술의 급속한발전에 기민하게 대응할 역량이 부족하다고 지적
 

- 정부의 무능력으로 많은 사람이 AI로 촉발된 대대적인 변혁에 대한 정부 대책에 더 이상 기대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

⁵ 《파이낸셜타임스》 칼럼니스트이자 CNN 글로벌 경제 애널리스트로 『돈 비 이블, 사악해진 빅테크 그 이후(Don't Be Evil: The Case Against Big Tech)』 등 다수의 책을 저술

○ 현재 상황에서는 거대한 규제 체계보다 명확하고 간결한 법을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

 

• EU 「AI법」의 주 설계자인 가브리엘레 마치니(Gabriele Mazzini) MIT미디어랩 연구원은 AI 법안을 제정하는 과정에서 간결성과 명확성을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
 

- 기존 법률과의 중복을 피하는 동시에 차별 방지와 투명성 제고 등 구체적인 위험에 초점을 맞춘 간단하고 명확한 규제 체계가 현재로서는 효과적인 대안이라고 주장

○ 효과적인 AI 규제를 위해서는 국제적 협력을 염두에 둔 규제 체계 수립도 고려할 필요

 

• UN은 지난 9월 19일 AI 리스크 관리를 위해 전 세계의 협업이 필요함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 「인류를 위한 AI 거버넌스(Governing AI for Humanity)」를 공개(붙임)
 

- AI의 위험으로부터 인류를 보호하기 위해 전 세계 주요 AI 개발사ㆍ연구자ㆍ정부 관계자간 협의체를 구성하고, AI 기술ㆍ공정성ㆍ신뢰성과 관련한 표준 수립이 필요함을 제시

[붙임]UN 「인류를위한AI 거버넌스」보고서

■ UN 사무총장 직속 ‘인공지능에 관한 고위급 자문 기구(High-Level Advisory Body on Artificial Intelligence)’에서 작성

○ ‘인공지능에 관한 고위급 자문 기구’는 전 세계 33개국 AI 관련 기술ㆍ법률ㆍ데이터 보호 전문가 39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에서는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참여

■ 보고서는 글로벌 AI 거버넌스 확립을 위한 일곱 가지 권고 사항을 제시

○ [①AI 국제 과학 패널 설립] AI의 기능과 위험 등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발표하는 AI 국제 과학 패널 설립
 

○ [②AI 정책 회의 개최] AI 국제 과학 패널의 보고서를 기반으로 전 세계 주요 AI 개발사, 연구자, 정부 관계자 간 협의체 구성
 

○ [③AI 표준 마련] AI를 전 세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AI 기술, 공정성, 신뢰성과 관련한 표준 마련. 일부 국가에서는 AI 공정성 표준을 AI가 생성한 콘텐츠가 허위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데 활용 가능
 

○ [④AI 역량 개발 네트워크 구축] 국가 간 AI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에 AI 관련 교육 및 데이터 제공
 

○ [⑤글로벌 AI 기금 설립] 개발도상국에 AI 관련 교육 및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글로벌 AI 기금 설립
 

○ [⑥글로벌 AI 데이터 프레임워크 수립] AI 시스템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관련 정의 및 관리 방법 등의 표준화
 

○ [⑦UN 내 AI 사무국 설립] 위 사항들을 이행하기 위한 전담 사무국을 UN에 설치

참고문헌

[국내 문헌]

구아현, 2024. 11. 27, “EU AI법 설계자의 고백 ‘AI 파운데이션 모델 규제 반대한다’”, The AI.
 

박선업, 2024.11.20,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 AI 정책 방향 변화 가능성 증폭”,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법제처 미래법제혁신기획단, 2024. 7, “인공지능(AI) 관련 국내외 법제 동향”.
 

안성원ㆍ박강민ㆍ장진철, 2024. 10. 13, “유럽연합 인공지능법(EU AI Act)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소프트 웨어정책연구소.
 

채은선, 2024. 10. 28, “미국 AI 행정명령에 대한 내용 및 이행 현황”,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해외 문헌]

European Central Bank, 2024, “The ri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Benefits and risks for financial stability”.
 

Javier Espinoza, 2024. 7. 16, “Europe’s rushed attempt to set the rules for AI”, Financial Times.
 

Madhumita Murgia, 2023. 5.18 “AI pioneer Yoshua Bengio: Governments must move fast to ‘protect the public’”, Financial Times.
 

Madhumita Murgia and Javier Espinoza, 2024. 9. 6, “US, Britain and Brussels to sign agreement on AI standards”, Financial Times.
 

Rana Foroohar, 2023. 5.18, “We need to create guardrails for AI”, Financial Times.
 

Richard Waters, 2024. 6. 5, “How will AI be regulated?”, Financial Times.
 

The White House, 2023, “Executive Order on the Safe, Secure, and Trustworthy Development and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전자 문헌]

EU AI Act  https://artificialintelligenceact.eu/

김준산

KB경영연구소

김준산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