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그테크(Agtech)의 부상 요인: 농업의 지속 가능성 확보와 식량 안보 전략

시리즈 총 5화
2025.03.31

읽는시간 4

0

■ [①수요와 공급의 구조적 불균형 심화] 현대 농업은 수요 증가와 공급 감소의 구조적 불균형에 직면

○ 유엔(UN)은 2022년 80억 명에 도달한 세계 인구가 2037년 90억 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인구 증가에 발맞춰 글로벌 농업 생산량이 현재보다 70% 이상 늘어야 한다고 추정
 

  • 전 세계 인구는 2011년 70억 명을 돌파한 지 11년 만에 10억 명이 증가했으며, 1800년대 초반 10억 명에서 20억 명까지 늘어나는 데 120년이 걸린 것과 비교해 증가 속도가 매우 빠름

    - 20세기 이후 기술 혁신과 경제 성장 속도가 빨라지면서 공중 보건과 영양, 개인 위생과 의약품의 개선이 이루어져 1970년대 이후로는 12~13년마다 10억 명씩 증가

  • 유엔경제사회국(UNDESA)이 발표한 「2024 세계 인구 전망(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4)」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는 2024년 89억 명에서 2084년 102억 9천만 명까지 증가할 전망

○ 바이오연료 수요 증가와 대체단백질 소비 확대도 농산물 수요를 높이는 요인
 

  • 시장조사기관 HIS마킷(HIS Markit)에 따르면, 전 세계 바이오연료 수요는 2020년 215만 b/d(일당 배럴)에서 2050년 459만 b/d로 2배 이상 증가할 전망.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특히 항공ㆍ해운 산업의 친환경 연료 수요가 3~4.5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

○ 반면 공급 측면에서는 농지 파괴, 농업 인구 감소 및 노령화 등 다양한 도전에 직면

■ [②심화되는 기후 변화와 식량 불확실성] 이상 기후로 인한 작황 불안정이 식량 공급의 불확실성 증대로 이어지면서 안정적인 농업 생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

○ 지구 온난화로 가뭄과 홍수 등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농지 파괴가 일어나면서 식량 부족 위기가 심화
 

  • 사라 하이코넨(Sara Heikonen) 알토대 박사는 《네이처푸드(Nature Food)》에 발표한 연구에서 지구 온난화가 심화되면 세계 식량 공급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주식 작물 재배지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

세계 인구 증가 추이

'세계 인구' '증가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료: 유엔

지구 온난화에 따른 서울의 평균 기온 추이

'지구 온난화'에 따른 '서울'의 평균 기온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료: 기상청

- 기온, 강수량, 건조도 변화 등이 주식 작물 30종의 재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온
이 1.5˚C 오르면 전 세계 식량 생산량이 3분의 1에서 절반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남

- 연구 결과에 포함하지 않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병해충과 기상 이변의 가능성까지 고려하
면 식량 생산량 감소폭은 더욱 확대될 전망

○ 현재 전 세계 인구의 9%는 식량 부족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식량 부족 현상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
 

  •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2023 세계 식량 안보 및 영양 현황(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3)」¹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아 인구는 7억 5,700만 명으로 전 세계 인구 11명 중 1명이 기본적인 건강 유지를 위한 음식이 부족한 실정

    -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가 발표한 「2024 세계기아지수(The 2024 Global Hunger Index)」 보고서에 따르면, 기아로 인한 발육 부진 아동은 1억 4,800만 명, 저체중 아동은 4,500만 명에 달하고 이 중 매년 200만 명이 영양실조로 사망

    - 2030년까지 5억 명 이상이 만성적 영양 결핍에 시달릴 것으로 예상. 이는 최악의 경우 최빈국은 2160년까지 앞으로 136년 동안 심각한 기아에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

¹ 유엔식량농업기구가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유니세프(UNICEF), 세계보건기구(WHO), 세계식량계획(WFP) 등과 공동 작성

■ [③지정학적 위험과 식량 안보의 중요성 증대] 미·중 패권 경쟁과 지정학적 충돌은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성을 증대하며 식량 안보의 중요성을 에너지 안보 수준으로 격상시킴

○ 특히 코로나19 팬데믹과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글로벌 식량 위기를 심화했으며, 각국은 자국의 식량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기 시작

○ 한국 역시 쌀을 제외한 대부분의 농산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식량 위기에서 자유롭지 못함
 

  • 한국의 곡물 자급률은 2008년 31.3%에서 2023년 11.8%까지 하락했으며, 쌀을 제외한 밀·옥수수·콩 등 다수의 곡물을 수입에 의존²

    - 주식인 쌀 역시 온실가스 배출이 지속된다면 세기말에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25% 이상 수확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어 안심할 수 없는 상황

  • 인구 증가 및 기후 변화로 인한 농산물 생산량 감소 시 곡물 확보 경쟁이 심화되는 만큼 다수 농산물을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에도 큰 부담으로 작용

² 농촌경제연구원, 2024.6,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2024 세계기아지수 단계표

2024년 '세계기아지수' 단계표이다.

자료: 컨선월드와이드

2023년 주요국 곡물 부문 자급률

2023년 주요국 '곡물' 부문 '자급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방석훈

KB경영연구소

방석훈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