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은행업은 다소 집중된 시장이기는 하지만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없는 경쟁도가 충분히 높은 시장임
- 높은 진입 장벽 등으로 은행이 독과점적 이익을 향유하고 있고, 소수 대형은행 재편에 따른 시장 지배력 강화로 시장 경쟁의 약화가 초래되었다는 비판이 또 다시 제기되고 있음
- 그러나 실제로 우리나라의 3대 은행 자산집중도는 2021년 기준 56.3%로 미국과 영국, 일본을 제외하면 주요 선진국보다 낮은 수준(OECD 국가들 중에서는 중하위권)
작게
보통
크게
○ 우리나라 은행업은 다소 집중된 시장이기는 하지만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없는 경쟁도가 충분히 높은 시장임
글로벌 주요 국가의 은행 집중도
자료: World Bank
¹⁸ ‘은행산업의 경쟁도 현황 및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2016년 2월호 논고
¹⁹ ‘우리나라 은행의 시장경쟁도 평가 및 정책적 시사점’, 서정호, 금융분석보고서 2016-04, 한국금융연구원
²⁰ 신규 기업의 진입이나 기존 기업의 퇴출이 없어도 그 가능성만으로도 충분히 시장경쟁이 심화될 수 있으며(Baumol, 1982), 이론적으로는 시장에 두 개의 경쟁자만 존재해도 가격이 한계생산비까지 떨어져 완전경쟁이 될 수 있음(Bertrand, 1883). Berger et al.(2004)과 Beck(2008)도 은행산업의 집중도가 은행간 경쟁에 관한 적절한 지표가 될 수 없다고 지적
○ 은행의 공공성 강화에 대한 해법을 신규 플레이어의 진입을 통한 ‘경쟁 시스템’의 강화로부터 찾기보다는, 은행이 공공적 제도로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상업성의 추구가 보장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책임과의 균형을 달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
○ 각 산업간 자금을 안정적으로 융통해줘야 하는 금융산업의 특성상 과열경쟁은 또 다른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란 것이 명약관화함
²¹ 금융경제시스템 상황과 금융감독 등 금융제도의 현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전제
²² 반면, ‘Competition stability view’는 은행간 경쟁이 경영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강화시켜 은 행산업의 안정성을 증대시킨다고 봄. 은행의 경쟁도가 낮아지면(시장지배력이 높아지면) 차주에게 높은 금리를 부과하게 되고 차 주는 리스크가 큰 곳에 투자할 가능성이 높아져 건전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는 견해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