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화. GDP와 생산

투자와 투기 사이: 부동산, 주식, 암호화폐
시리즈 총 6화
2023.06.14

읽는시간 4

0

현대 경제는 국가경제가 연간 생산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총합인 GDP 지표로 표시

○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이하 GDP)은 연간 한 국가에서 생산된 상품(product, 재화)과 서비스(service, 용역)의 시장가치를 합친 것

 

· 한 경제에서 생산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는 (기업, 가계,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에 고르게 소득으로 분배되며, 경제 주체는 이 소득을 모두 소비(및 저축)하여 생활을 영위

- 저축은 미래 소비를 위해 현재 소비를 줄인 것이므로 소비에 포함

 

· 즉 한 경제 내에서 생산 = 소득 = 소비(저축 포함)의 관계가 성립¹

 

○ GDP는 국가의 연소득으로 볼 수 있으며,

국가가 보유한 자산의 규모는 고려하지 않음

 

· 자산은 소득의 일부가 소비되지 않고 저축되면서 장기간 축적된 것

 

· 부채 사용 시 자산의 규모가 더 커질 수 있음

주요국 GDP 규모(2022년)

주요국의 'GDP 규모'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GDP는 국가의 연소득으로 볼 수 있으며, 국가가 보유한 자산의 규모는 고려하지 않는다.

자료: 한국은행

경제성장은 국가의 연소득이 증가하여 더 많은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다는 뜻

○ 경제성장은 한 국가의 GDP가 늘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보통 물가 상승 등을 고려한 연간 GDP 증가율을 (실질) 경제성장률로 정의

 

· 상품과 서비스는 노동, 자본²이 결합되어 생산되며, 생산 기술에 따라 생산량이 변화

 

○ 생산이 늘어나야 소득과 소비도 증가하게 되어 전체적인 생활 수준이 향상되므로, 경제성장은 모든 국가의 주요 당면 과제에 해당

 

·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의 생산 능력을 모방하여(생산 기지화 등) 생산을 확대하면서 자본 축적

- 자본이 부족하기 때문에, 선진국으로부터 설비투자를 받는 등 자본 유치가 중요

 

· 선진국은 축적된 자본을 활용하여 생산 능력을 더욱 개선하고(기술 개발 등) 생산을 확대

¹ 한 경제 내에서 생산, 소득, 소비가 같은 것을 삼면등가의 원칙이라 함. 다만 시차 등의 이유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

² 생산의 3요소는 자원(토지), 노동, 자본이지만, 자원은 자본에 의해 개발되거나 채굴 권리가 매입되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생 산함수에서는 자본에 포함되는 항목으로 분류 

자본 축적 및 기술 개발로 경제성장 가능

○ 생산 증가는 노동력 증가, 자본 증가, 생산기술 개선에 의해 발생

 

· 생산이 늘기 위해서는 노동력이 늘거나(인구 증가, 숙련도 증가 등), 자본이 늘거나(설비 확대 등), 노동력과 자본을 결합하여 생산하는 능력이 증가(신기술 개발 등)해야 함

 

· 인구 증가는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어려워 정책의 대상은 주로 자본 축적 및 기술 개발에 집중될 수밖에 없음

- 인구 증가를 위해 출산 장려, 이민 확대 등의 정책을 실행할 수 있으나, 성공 여부가 불분명하고 정책이 결실을 거두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등의 어려움 발생

 

· 경제발전 초기에는 한정된 자원을 더 효율적인 부문에 투입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

- 한국의 경우 한정된 자원을 경공업, 중공업 등에 순차적으로 지원하면서 빠른 경제성장을 유도

 

○ 자본이 축적되면 다양한 시도를 통해 기술을 개발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

 

· 다양한 기술 개발이 시도되기 위해서는 기업에 자본이 축적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생산 증가는 결국 자본 축적이 중요

- 민간 자본 규모로 기술 개발이 어려운 경우에는 정부 주도로 기술을 개발하고 민간에 기술을 이전할 수 있음: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 개발 기술 민간 이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나로호 개발 기술 민간 이전 등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시에 정부 주도로 개발된 기술이 민간으로 이전되면서 9경제의 생산성이 증가하였으나, 현재는 정부보다 민간에서 더 적극적으로 대규모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 미국에서는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항공우주장비 회사 스페이스엑스(SpaceX)가 적극적으로 로켓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천 개 이상의 인공위성을 발사하여 위성 통신망인 스타링크를 구축 중

생산곡선과 생산량 증가

'생산곡선과 생산량 증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생산이 늘기 위해서는 노동력이 늘거나(인구 증가, 숙련도 증가 등), 자본이 늘거나(설비 확대 등), 노동력과 자본을 결합하여 생산하는 능력이 증가(신기술 개발 등)해야 한다.

자료: KB경영연구소

자본 축적 지속 시 수확체감의 법칙에 따라 경제성장 속도 및 이자율이 하락

○ 수확체감의 법칙: 축적된 자본의 규모가 커질수록 추가되는 자본의 영향이 감소하게 되므로, 자본 축적에 따른 경제성장 속도가 하락하게 됨

 

· 사람 10명, 기계 10대로 생산량이 100인 경우, 기계가 20대로 늘어나면 10명의 사람이 20대의 기계를 모두 관리하기 어렵게 되면서 생산량이 200이 아닌 180~190 수준에 머물게 됨

 

○ 이윤율 하락 경향: 자본이 축적될수록 수확체감의 법칙에 따라 생산 증가 속도가 감소하므로, 자본이 생산에 기여하고 받는 소득인 이자율도 점차 하락

 

· 경제가 급성장하는 시기는 자본이 부족하기 때문에 공급-수요 법칙에 따라 자본가치가 높아지고, 이자율이 상승

 

· 경제가 충분히 발전한 이후에는 자본이 이미 충분히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수요 법칙에 따라 자본가치가 낮아지고, 이자율이 하락

 

· 마르크스는 자본주의는 숙명적으로 이윤율 저하로 인해 공황이 발생한다고 지적

 

○ 이윤율 저하에 대응하기 위해 자본은 좀 더 수익률이 높은 개발도상국에 투자되는 경우가 많으며,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으로 소비 여력이 증가하면 선진국의 경제도 동반 성장 가능

한국의 경제성장과 금리 추이

'한국의 경제성장과 금리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윤율 하락 경향: 자본이 축적될수록 수확체감의 법칙에 따라 생산 증가 속도가 감소하므로, 자본이 생산에 기여하고 받는 소득인 이자율도 점차 하락한다.

자료: 한국은행

김진성

KB경영연구소

김진성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