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화. 슈퍼앱이란 이런 것, 필리핀 지캐시

MWC 2023: 미래를 향한 질주
시리즈 총 8화
2023.04.04

읽는시간 4

0

필리핀 지캐시(GCash)는 국민의 33%가 은행 서비스를 받지 못하던 상황에서 모바일기반 송금 서비스로 출발하여 현재는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금융 앱으로 성장

○ 2022년 3월 기준 필리핀 성인 인구의 83%인 6천만 명이 지캐시를 이용 중으로, 2019년 2천 만 명에서 3년만에 이용자 수가 세 배로 증가하였음

 

  • 필리핀에는 페이팔, 그랩페이(GrabPay), 페이마야(Paymaya) 등 모바일 결제 및 송금 서비스가 40개가 넘음에도 지캐시는 독보적인 이용률 1위를 차지
    - 하루 로그인 횟수 2,900만 회, 거래 수는 1,900만 건 가량이며, 필리핀 국민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바일지갑임
    - 필리핀 모바일지갑 이용자 대상 조사 결과 92%가 주사용 모바일지갑으로 지캐시를 이용하는 것으로 응답한 반면, 2위인 페이마야는 38%에 그쳐 상당한 격차를 보여줌¹⁹
    - 페이팔도 필리핀 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지캐시와 같이 현지화된 기능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 지캐시를 운영하는 필리핀의 핀테크 민트(Mynt)는 필리핀 1위 통신사인 글로브텔레콤(Globe Telecom)의 자회사로, 필리핀 인구 중 33%만 은행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나 대부분 국민이 휴대전화는 이용하고 있음에 착안하여 모바일에 기반한 금융서비스 제공을 추진

 

  • 지캐시는 2004년 SMS에 기반한 송금서비스로 시작. 당시 필리핀 인구의 33%만이 은행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었음
    - 2023년 초에도 56%만이 은행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을 정도로 필리핀의 금융포용성은 전통적으로 매우 낮음
    - 필리핀의 낮은 금융포용성은 오프라인 지점에 대한 접근성, 지점 방문시의 긴 대기시간, 은행 계좌 개설 시 2천 페소(한화 약 5만 원)의 최소 자금이 필요한 등의 제약 등에 기인²⁰
    - 해외 거주 노동자들이 필리핀 국내로 송금 시, 수령자 대부분이 은행 서비스를 받지 못해 송금이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자 지캐시는 모바일 기반 송금 서비스를 개시

¹⁹ 필리핀 국민 18세 이상 512명을 대상으로 한 Statista의 조사 결과

²⁰ 필리핀 중앙은행(BSP)은 계좌보유율 확대를 위해 정식 계좌는 아닌 기본 예금계좌(BDA-basic deposit account) 도입을 추진 중으로, 초기 예치금은 100페소(약 2,500원) 미만 

최근 4년간 지캐시 사용자 증가(백만 명)

필리핀의 '지캐시' 사용자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음.

자료: Statista

MWC 2023에서 기조연설 중인 민트 CEO

필리핀의 '민트' CEO가 'MWC 2023'에서 기조연설을 함.

자료: GSMA

지캐시는 필리핀 국민 특성을 반영한 ‘고객 중심 전략’으로 꾸준히 성장하여 오다가, 코로나19를 맞이하여 대다수가 활용하는 국민 앱으로 성장

○ 지캐시는 ‘사셰(Sachet)’ 경제로 일컬어지는 필리핀 국민들의 고객 니즈를 반영한 금융서비스를 개발하여 성장의 기틀을 마련

 

  • 사셰는 1회분의 액체 또는 가루가 포장된 봉지를 의미하며, 필리핀은 대용량 제품보다 소용량 포장 제품이 인기. 지캐시는 이를 반영한 금융서비스를 제공
    - 지캐시를 통하여 저축계좌 개설 시 은행과 같이 최소 예치금을 요구하지 않으며, 투자 시에도 국내 주식은 최소 50페소(약 1,200원)부터, 글로벌 펀드는 최소 1,000페소(약 24,000원)부터 투자가 가능
    - 소규모 영세업자들이 현금 대신 지캐시를 이용해 판매대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발하여 공급

○ 팬데믹으로 소비자와 기업 모두 이동이 제한되자 필리핀 내에서 지캐시를 비롯한 모바일 금융 서비스 활용이 증대되었으며, 다수 금융기관과의 협업과 필리핀 중앙은행의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 독려 등도 지캐시의 성장 원인으로 작용

 

  • 팬데믹 기간 동안 필리핀 인구의 47%가 모바일 간편결제를 처음으로 사용하였으며, 26%가 QR코드 결제방식을 처음 사용 
    - 지캐시는 필리핀아일랜드은행(BPI, Bank of the Philippine Islands), CIMB 은행, 메이뱅크(Maybank), 보험사인 싱라이프(Singlife) 등 다수 금융기관과 협업을 추진하였으며, 필리핀중앙은행도 팬데믹 이후 모바일 결제 활용을 적극 독려하여 지캐시 성장을 견인 
  • 은행 서비스와 달리, 필리핀에서 통신 서비스는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어 모바일 기반 금융서비스 확대의 요인으로 작용
    - 필리핀에서 모바일 가입 회선은 인구의 138.2%인 1억 5천만 회선이 개통되어 있으 며, 인구의 63%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80.7%가 SNS를 활용(2021년 1월 기준) 

지캐시는 필리핀 최대의 올인원 슈퍼앱으로, 금융서비스뿐 아니라 다수의 생활서비스를 포함하여 보다 더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

○ 지캐시는 송금을 중심으로 대출, 보험, 저축, 투자 등 다수의 금융서비스를 제공

 

  • 지기브(GGives)와 지론(GLoan)은 소액 대출 서비스로, 지캐시 자회사인 퓨즈(Fuse)에서 자금을 공급
    - 지기브는 지캐시 파트너사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 구매시 사용 가능한 BNPL 서비스로, 한도는 125,000페소(약 300만원), 이율은 0~5.49%
    - 지론은 신용조회 없이 바로 125,000페소까지 현금 지급이 가능한 서비스로 이율은 1.59~6.57%
    - 사용자의 지캐시를 통한 송금 등 활동을 통해 사용자별 지스코어(GScore)를 도출하며, 이는 지캐시 대출 서비스 활용 시 이율 및 한도 산정 등에 활용됨

지캐시 금융서비스 예시

'지캐시'의 다양한 '금융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함.

자료: 지캐시 홈페이지

  • 지세이브(GSave)는 지캐시를 통해 필리핀아일랜드은행, CIMB 등 협력은행에 저축계좌를 생성하고 입금 및 출금이 가능한 서비스로, 해당 은행에 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활용이 가능 
  • 지펀드(GFunds)는 필리핀 투자회사인 아트람(Atram)과 협력으로 제공하는 투자 서비스이며, 지인슈어(GInsure)는 간편하게 지캐시 제공 상해보험, 건강보험 등 가입이 가능한 서비스

○ 지캐시는 생활서비스로 영역을 확장하여 쇼핑, 영화 예매, 게임, 배달 등의 서비스도 제공

 

  • 지라이프(GLife)는 사용자가 맥도널드, KFC 등 다수의 브랜드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앱을 매번 설치, 계정 생성, 로그인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자 다수 사업자와 파트너십을 통해 지캐시 앱에서 한번에 해결 가능하도록 고안된 서비스
    - 동남아 최대 전자상거래 서비스인 라자다(Lazada), 맥도날드, KFC, 슈퍼마켓 체인인 퓨어골드(Puregold), 통신사 고모(Gomo), 게임 개발사 고아마(Goama) 등 협력 파트너가 제공하는 쇼핑, 식음, 게임 등의 서비스를 지라이프에서 이용 가능

지캐시 앱에서 지라이프를 통한 맥도널드 주문 및 배달 과정

'지캐시' 앱에서 '지라이프'를 선택하면 각종 쇼핑, 식음, 게임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

자료: 지캐시 홈페이지

  • 지포레스트(GForest)는 도보 이용, 지캐시 이용 등을 통해 절감한 탄소만큼 ‘그린 포인트’ 를 얻어 앱 상에서 사용자가 가상의 나무를 심어 키우고, 지캐시는 이후 가상의 나무를 실제 나무로 심는 사회공헌 서비스 
  • 이외에도 영화 예매, 통신사 연계를 통한 휴대폰 선불충전, 게임머니 구매 등의 서비스들을 제공 

지캐시 제공 생활서비스 예시

'지캐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생활서비스'가 있음.

자료: 지캐시 홈페이지

지캐시 사례는 금융 플랫폼이 성공적인 ‘생활 플랫폼’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당한 MAU를 확보해야 하며, 쉽고 간편한 사용성이 핵심 성공 요인 중 하나임을 시사

○ 금융 플랫폼이 슈퍼앱 전략을 통해 서비스 확장을 위해서는 먼저 국민의 절대 다수가 이용하는 금융앱이 되어야 할 필요

 

  • 지캐시는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앱으로써 먼저 기틀을 다졌기에 맥도널드 등 다수의 생활 서비스 제공사들과 용이하게 파트너십을 체결할 수 있었으며, 이들을 금융 플랫폼 내부로 끌어들여 성공적으로 슈퍼앱으로 확장할 수 있었음
    - 필리핀 아시아유나이티드뱅크(AUB)는 자체 배달앱 페이메이트 보티(PayMate BOTTY)를 운영하는 등 생활 플랫폼 확장 전략을 추진 중인 지캐시와 경쟁 관계의 은행
    - 아시아유나이티드뱅크는 지캐시를 통해 더 많은 고객 접점을 확보할 수 있는 이유로 자사 배달 서비스를 지캐시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지캐시와 제휴를 추진

○ 지캐시가 전국민에게 활용되는 앱으로 성장한 것과, 다양한 생활서비스로 확대된 배경에는 빠르고, 간편하고, 쉬운 사용성이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작용

 

  • 지캐시의 성공 배경에는 복잡하고 불편한 은행 서비스를 대신하여 누구나 활용 가능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흔들림 없는 목표가 있었으며,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은 쉽고, 빠르고, 간편한 사용성 
김준산

KB경영연구소

김준산
이창우

KB경영연구소

이창우
김진욱

KB경영연구소

김진욱
김주환

KB경영연구소

김주환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