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2월 1주차 금융시장 전망

시리즈 총 4화
2025.02.03

읽는시간 4

0

이번 주 지표

예고된 트럼프의 관세 전쟁, 금융시장 혼란은 최고조

경제, 예고된 트럼프의 관세 전쟁 시작, 글로벌 물가 상승과 실물경기 위축

2월 1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 캐나다에 25% 관세 부과, 중국에 대해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금주 후반에는 최대 무역국인 유럽 제품에 대해서도 관세 부과를 시행할 가능성이 높다. 이로 인해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10%를 상회할 것이며, 캐나다 등은 미국 제품에 대해 역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의 관세 전쟁이 시작된 것이다. 미국의 수입물가는 연간 56% 오를 것이고(에너지 제외), 전체 소비자물가는 0.81.0%p 추가 상승할 전망이다. 반면 근원 물가 영향은 제한적인데, 가계의 구매력 약화와 서비스 소비도 위축될 것이기 때문이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시작으로 금융시장은 더욱 혼란스러울 것으로 예상된다.

금리, 글로벌 무역전쟁 개시로 경기둔화 우려가 부각되며 금리 하방 압력 우세

이번 주 미 국채금리는 트럼프가 주요국을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한 점이 단기 상승 압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관세가 소비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과 1월 경제지표 부진 가능성을 반영해 하방 압력 우세가 예상된다.

 

1분기 미 재무부가 국채발행계획(QRA)을 발표하지만, 연방정부 부채가 한도에 도달한 점을 고려할 때 발행규모를 큰 폭으로 변경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국 국고채 금리는 추경 편성 우려에도 글로벌 무역전쟁으로 경기둔화 우려가 부각되면서 하방 압력 우세가 예상된다.

 

다만 시장금리가 기준금리 2회 인하를 이미 반영하고 있으며, 기업들의 제품가격 인상 및 수입물가 상승으로 1월 물가상승률이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금리 하락 폭은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환율, 관세 불확실성이란 늪에 빠진 환시, 달러/원은 오버슈팅 구간 목차

이번 주 달러/원 환율은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됨에 따라 현재 레벨(1,470원)에서 추가 상승 가능, 즉 상단을 지난해 12월 고점인 1,480원대까지는 열어둘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주중 EU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와 그 강도에 따라 원화 가치가 추가적으로 절하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관세 부과 이후에는 환율의 되돌림 가능성도 염두할 필요가 있다. 우선 단기적으로 환율이 급하게 올라왔다는 점에서 조정될 여지가 있고, 기술적으로도 현재 환율 레벨은 오버슈팅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주 달러/원 환율은 EU 관세 이벤트를 고점으로 하락 조정이 예상된다.

금주 주요 지표 전망치

'25년 2월 1주차' 주요 지표 전망치를 정리한 표이다.

자료: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금주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및 전망

'25년 2월 1주차'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및 전망을 정리한 표이다.

주: 컨센서스 및 전망치는 Bloomberg, 인포맥스 참고, 한국 전망치는 KB국민은행 계산, 음영 부분은 발표치를 의미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장현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숫자로 보는 글로벌 거시경제. 고객의 눈높이에서 핵심만 쉽게 설명합니다.

장현상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한국 경제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결과와 최근 경제 이슈 정보를 빠르게 전달합니다.

이민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