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퇴사, 이직한 직장인이라면 '연말정산'이란 난관에 부딪히기 마련입니다. 퇴사 및 중도입사를 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직장인들과 연말정산을 다르게 준비해야 하거든요. 그런데 이전 회사에 연락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그대로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토해내야 할까요?
이번 시간에 내가 2024년 귀속 연말정산 대상인지부터 어떤 자료를 준비하고 제출해야 하는지 케이스별로 나눠서 알려드릴게요.
읽는시간 4분
이런 분들이 읽으면 좋아요!
중도퇴사, 이직한 직장인이라면 '연말정산'이란 난관에 부딪히기 마련입니다. 퇴사 및 중도입사를 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직장인들과 연말정산을 다르게 준비해야 하거든요. 그런데 이전 회사에 연락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그대로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토해내야 할까요?
이번 시간에 내가 2024년 귀속 연말정산 대상인지부터 어떤 자료를 준비하고 제출해야 하는지 케이스별로 나눠서 알려드릴게요.
퇴사자 연말정산 준비물
전 직장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챙기셨나요?
이전 회사에서 받은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은 회사에서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할 때 일부를 미리 세금으로 떼고 지급했다는 ‘원천징수’를 증명하는 서류를 말해요.
퇴사하기 전에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 받으면 연말정산을 준비할 때 수월해요. 만약 퇴사할 때 미쳐 발급 받지 못했거나, 이전 직장에 연락하기 껄끄러운 상황이어도 문제없어요. 홈택스에서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직접 발급할 수 있거든요!
2024년 근로했던 이전 회사의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은 2025년 3월부터 조회할 수 있어요.
퇴직자 연말정산 방법
2024년 중도퇴사자 및 이직자
연말정산 방법 총정리
2024년에 중도 퇴사했다면 회사는 퇴직하는 달의 급여를 지급할 때 미리 연말정산을 진행하는데요. 이때 카드 사용금액, 보험료, 의료비 등은 공제하지 않은 채로 기본 공제사항만 적용해요. 그래서 퇴사자는 이전 직장의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과 함께 공제사항의 추가 서류들을 준비해야 해요.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가 되는 항목은 근로제공기간(=회사 재직 기간)에 지출한 비용만 적용됩니다. 그러니까 퇴사 후~재취업 전까지의 공백기 동안에 썼던 신용·체크카드 금액이나 월세, 청약저축,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등은 소득공제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어요.
2024년에 중도 퇴사를 하고 다른 회사로 이직한 사람이라면 2024년 귀속 연말정산은 현 직장에서 진행해요! 현 직장의 연말정산을 진행할 때 전 직장의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과 공제 항목의 추가 서류도 함께 제출하면 됩니다.
지금 직장에서 연말정산 때는 현 직장의 근무기간에 대해서만 연말정산을 합니다. 2025년 3월 이후 홈택스에서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직접 발급 한 뒤, 2025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현 직장 연말정산+이전 직장 연말정산]을 합산해 신고해요. 이전 직장에서 공제 받지 못한 내용은 추가 서류를 준비해 같이 제출하면 됩니다.
2024년에 중도 퇴사를 하고, 2024년 12월 31일 까지 소득이 없었다면 2025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해요. 이때 이전 회사의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및 추가 서류를 함께 제출하면 됩니다.
2024년 퇴사하고 새롭게 창업했다면 2025년 5월에 [이전 직장의 근로소득+창업 후 얻은 사업소득]을 더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 됩니다.
2024년에 새롭게 입사한 신입사원이라면 현 직장의 연말정산을 진행하면 됩니다. 입사한 기간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근무한 기간 동안의 연말정산을 진행해요. 연말정산의 소득·세액공제는 근로제공기간의 금액에 대해서만 적용되기 때문에, 입사 전 취업준비기간 동안에 지출했던 금액은 제외됩니다.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Z잡러 연말정산
저도 연말정산 대상인가요?
한 사업장에서 3개월 이상 근무했고 4대 보험에 가입된 아르바이트생이라면 연말정산 대상이에요. 3개월 미만으로 근무했거나, 소득세 3.3% 원천징수 대상자라면 연말정산은 하지 않습니다.
프리랜서는 연말정산을 진행하지 않고, 2025년 5월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요.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업무에 필요한 경비를 인정받아 세금을 줄일 수 있어요. 임대료, 교통비, 보험료, 교육훈련비, 휴대폰 통신비,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등이 대표적인 필요 경비 항목입니다.
직장에 근무하면서 부업을 병행한다면, 부업으로 얻은 소득의 종류에 따라 연말정산 혹은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해요.
부업 소득 종류 별 소득정산 방법
*분리과세 : 소득을 다른 소득과 합산하지 않고, 별도로 정해진 세율로 세금을 납부하는 방식
이런 경우, 연말정산에서는 주된 근무지의 소득만 정산하고, 부업 소득은 포함하지 않아요. 부업 소득은 2025년 5월에 주된 근무지 근로소득과 합산하여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 돼요.
퇴사자&이직자 연말정산 정리
이 콘텐츠는 신용카드플랫폼 카드고릴라와 함께 만들었습니다.
이 콘텐츠는 2025년 1월 17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발행일 이후 변경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오직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개인적인 자문 또는 홍보 목적의 콘텐츠가 아닙니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개인이 입은 손해에 대한 법적 책임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금융을 쉽게, KB의 생각으로 금융이 가까워집니다.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