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5주 연속 ‘속도 조절’… 매수심리도 한 템포 쉬어 간다

KB통계 리포트
25.11.21
읽는시간 0
0

작게

보통

크게

목차

'KB아파트시장 동향' '서울 상승률 0.23%... 5주 연속 둔화' '11월 3주차 시황: 2025.11.17 조사 기준' 오른쪽에는 붉은색 상승 그래프를 큰 손바닥이 막아서는 듯한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으며, 이는 상승세 둔화를 상징합니다. 아래에는 주택들이 배경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11월 셋째 주 아파트시장은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상승세가 완만해지며 관망 분위기가 이어졌습니다. 서울은 42주 연속 상승을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5주 연속 줄었는데요. 매수심리도 둔화되고 거래량은 절반 가까이 감소하며 시장이 ‘숨 고르기’ 국면에 들어섰습니다.

[매매] 전국·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는 이어지지만 속도는 둔화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추이' 2025년 5월 12일부터 11월 17일까지 전국, 수도권, 5개 광역시의 주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전주 대비, %)을 나타내는 꺾은선 그래프입니다. 수도권(검은색 선)은 10월 중순경 최고점을 찍은 후 하락하여 11월 17일 기준 0.12%를 기록했습니다. 전국(노란색 선)은 0.07%로 소폭 하락했으며, 5개 광역시(빨간색 점선)는 0.01%를 기록하며 보합세에 가까운 흐름을 보입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7% 상승하며 12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서울은 0.23%로 상승률이 다시 줄며 5주 연속 둔화세를 보였어요. 10·15대책 이후 매수세가 줄고 거래가 한산해진 영향입니다.

'전국 아파트값 12주 연속 상승세, 지방광역시도 상승 흐름' 전국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전주 대비, %)을 수치로 표시한 대한민국 지도가 있습니다. 전국 평균은 0.07% 상승입니다. 주요 도시별로는 서울 0.23%, 경기 0.09%, 울산 0.07%, 전북 0.06%, 부산 0.03%, 경남 0.02% 순으로 상승했으며, 특히 지방 광역시인 부산과 울산이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반면, 강원(-0.03%), 대구(-0.01%), 충남(-0.01%), 광주(-0.01%), 제주(-0.04%)는 하락 또는 보합세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내에서는 송파(0.56%)·용산(0.54%)·중구(0.53%)·서초(0.44%)·성동(0.35%) 순으로 상승했습니다. 한강 조망권과 교통 접근성이 좋은 지역 위주로는 여전히 강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거래가 줄고 상승세가 점차 완만해지고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들도 “서울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나, 규제 이후 매수심리 위축으로 거래량이 크게 줄어 진정 국면으로 진입한 모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매매] 수도권·광역시

분당·용산 강세, 비수도권은 혼조

'서울 아파트값 42주 연속 상승, 송파·용산 등 강세' 서울 구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전주 대비, %)을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입니다. 송파구가 0.56%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용산구 0.54%, 중구 0.53%, 서초구 0.44%, 성동구 0.35% 순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도봉구는 0.01%로 보합에 가까운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서울 전체 평균은 0.23% 상승입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0.12% 상승했습니다. 경기(0.09%)는 14주 연속 오름세, 인천(0.01%)은 소폭 반등하며 상승 전환했습니다.

특히 성남 분당구(0.86%)는 전국 상승률 1위로, 재건축 기대감과 교통호재가 맞물리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수원 장안(0.26%), 하남(0.25%), 용인 수지(0.24%) 등도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반면 안성(-0.11%)·일산서(-0.06%)·파주(-0.05%) 등은 입주물량 증가 영향으로 약세입니다.

'경기 아파트값 12주째 오름세, 인천 상승 전환' 경기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전주 대비, %)을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입니다. 성남 분당구가 0.86%로 압도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수원 장안구(0.26%), 하남(0.25%), 용인 수지구(0.24%)도 상승했습니다. 반면, 파주(-0.05%), 고양 일산서구(-0.06%), 안성(-0.11%)은 하락했습니다. 경기 전체는 0.09%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5대 광역시에서는 울산(0.07%)·부산(0.03%)이 상승했지만, 대구·광주(-0.01%)는 하락했습니다.

[전세] 서울 전셋값 40주째 상승

광진·송파·용산 강세

'지역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추이' 2025년 5월 26일부터 11월 17일까지 전국, 수도권, 5개 광역시의 주간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전주 대비, %)을 나타내는 꺾은선 그래프입니다. 모든 지역의 전세가격이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이며, 수도권(검은색 선)이 0.11%로 가장 높습니다. 전국(노란색 선)은 0.08%, 5개 광역시(빨간색 점선)는 0.07%를 기록했습니다.

전국 전세가격은 0.08% 상승하며 36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서울(0.14%), 경기(0.10%), 인천(0.03%) 모두 상승했고, 세종은 0.42%로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어요.

'전국 전셋값 36주 연속 상승, 5개 광역시 11주 연속 오름세' 전국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전주 대비, %)을 수치로 표시한 대한민국 지도가 있습니다. 전국 평균은 0.08% 상승입니다. 주요 도시별로는 세종(0.42%), 울산(0.10%), 부산(0.11%), 경기(0.10%), 서울(0.03%), 인천(0.03%) 등 다수의 지역에서 상승했습니다. 특히 세종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전북은 -0.01%로 유일하게 하락했습니다.

서울에서는 송파(0.41%)·광진(0.39%)·용산(0.31%)이 전세 강세를 주도했습니다. 광진구는 학군 수요가 몰리면서 광장동 일대 전셋값이 크게 올랐고, 송파·용산은 재건축 이주 수요와 전세 매물 부족이 겹치며 오름세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경기 하남(0.62%)은 서울 전세 수요가 일부 유입되면서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광주(0.50%)·용인 기흥(0.29%)도 상승폭이 컸습니다.

매수심리 약화, 거래 ‘반토막’ 수준

'서울 매수 수요 전주 대비 2.4p 소폭 감소' 수도권 매수우위지수(주간, 100 기준, 0-200) 추이를 나타내는 꺾은선 그래프입니다. 지수는 매수자가 많으면 100 초과, 매도자가 많으면 100 미만을 의미합니다. 11월 17일 기준 강남(74.6)과 서울(72.8), 강북(70.8)은 모두 10월 중순경 최고점을 찍은 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경기(42.2)와 인천(30.5)은 100 미만으로 매도자가 많은 시장 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며, 인천은 전주 대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전국 매수우위지수는 39.9로 전주 대비 1.2p 하락했습니다. 서울도 72.8(▼2.4p)로 내려앉으며 최근 한 달 간 매수심리가 꾸준히 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는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강한 ‘매도우위 국면’을 나타내며, 서울 내 강남11개구·강북14개구 모두 70대 초반으로 떨어져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와 금리 부담, 정부의 추가 안정 대책 기대감이 맞물리며 매수세가 위축된 상황”이라며 “내년 상반기까지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전세수급지수 159.7

여전히 ‘매물 부족’

'전국 전세수급지수 159.7... 수요 대비 전세 매물 부족' 2025년 8월 25일부터 11월 17일까지 전국, 서울, 경기, 인천의 주간 전세수급지수 추이를 나타내는 꺾은선 그래프가 있습니다. 전세수급지수는 100을 초과할수록 공급 부족을 의미합니다. 11월 17일 기준 인천이 163.1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전국이 159.7, 서울이 159.0, 경기 157.4로 뒤를 이었습니다. 모든 지역이 150 이상의 높은 수치를 유지하며 전세 매물이 수요에 비해 크게 부족한 상황임을 보여줍니다.

전세 매물 부족 현상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습니다. 전국 전세수급지수는 159.7, 서울은 159.0으로 기준점(100)을 크게 웃돌고 있습니다.

서울·경기·인천 모두 전세공급이 충분하지 않아, 매물이 나오면 빠르게 거래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전세시장 불안은 내년 초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매매시장은 관망세지만, 전세는 여전히 수요 우위 구조가 유지되는 국면”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짙어진 관망세

지금은 전형적인 속도 조절 구간

이번 주 아파트시장은 ‘상승은 이어지지만 거래는 줄고, 심리는 식는’ 전형적인 속도 조절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10·15대책 이후 고가·핵심지의 과열이 진정되며 시장 전반이 안정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다만 전세시장 불균형이 지속되면서 매매가 방어 효과가 생기고 있어, 연말까지는 완만한 상승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