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

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 처음으로 3대 신형인프라 구성 범위 공개

중국주식 9시 뉴스
20.04.21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 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 (이하 ‘발개위’), 4월 정기 브리핑 실시 (4/20)
- 질문: 중국의 신형인프라 건설에 대한 관심이 높음.
신형인프라 건설 범위가 어떻게 되는지? 향후 발개위의 신형인프라 건설 지원 방안은?
- 답변: 신형인프라 건설은 크게 3가지 (정보/융합/혁신 인프라)로 구성
① 정보 인프라: 차세대 IT기술 발전에 따른 인프라로 5G/IoT/공업인터넷/위성인터넷 등을 대표로 한 통신네트워크 인프라.
인공지능/클라우드 컴퓨팅/블록체인 등을 대표로 한 신기술 인프라, 데이터센터 등
② 융합 인프라: 인터넷/빅데이터/인공지능 등의 기술 응용 및 전통 인프라 업그레이드를 통해 형성된 인프라.
스마트 교통 인프라 및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등 포함
③ 혁신 인프라: 과학연구/기술개발/상품제도 등 분야를 지원하는 공익성격의 인프라.
과학기술 인프라, 과학교육 인프라, 산업기술 혁신 인프라 등 포함
- 기술/산업 혁신에 따라 신형인프라의 적용 산업은 지속적으로 변경될 예정

- 질문: 코로나19 영향 기간 동안 다양한 신 (新) 산업/비즈니스모델 출현.
향후 이러한 신규 산업/비즈니스 모델 지원/발전을 위한 발개위의 조치는?
- 답변: 향후 발개위는 3개 분야에 대한 지원을 진행할 것: ① ‘신중한 포용 (2018년 9월 리커창 총리가 처음으로 제시.
신규 산업/기술/비즈니스모델 발전에 따라 적절한 규제와 관리감독을 통한 산업 발전을 추진)’ 지속, ② 시범 테스트 지역 확대, ③ 공동 추진 강화 (정부-기업-금융기관-협회-연구기관 등 상호간 협업 강화)
- 발표된 중국 1분기 GDP 세부 내역 중 정보전송 및 소프트웨어/IT서비스업은 전년동기 대비 13.2% 성장.
이는 데이터경제 신규 산업의 추세적 발전과 잠재력을 나타냄.
이번 코로나19 영향 기간 동안 대다수의 오프라인 활동이 제한되면서 비대면 물류, 온라인 의료/교육, 원거리 근무 등 온/오프라인을 융합한 신규 비즈니스모델이 빠르게 발전.
이러한 신규 산업 모델은 코로나19 영향을 이겨내고, 다음 단계를 준비하기 위해 기업 스스로 새로운 영역에 도전해 얻어낸 긍정적인 결과


☞ KB’s Comment
- 발개위는 처음으로 중국 신형인프라 구성 범위를 공개.
이는 중국 정부의 신형인프라 투자 방향성이 명확해졌음을 의미.
2020년 코로나19 극복을 계기로 정부 주도의 신형인프라 건설 및 기술 국산화 전략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
- 지난 3월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의에서 5G네트워크 및 데이터센터 등의 신형인프라 건설 가속화를 언급함.
이후 7대 신형인프라 (5G기지국, 특고압 설비, 고속철 등 교통인프라, 전기차 충전소, 데이터센터, 인공지능, 공업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박수현 박수현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