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

1분기 中 경제성장률 서프라이즈에도 시장이 환호하지 않은 이유

KB China Issue Tracker
23.04.19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2023년 1분기 GDP, 3월 소매판매 컨센서스 상회했으나, 청년층 실업률 상승으로 회복 ‘지속성’ 우려

18일 발표된 2023년 1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은 4.5%로 전분기 (2.9%)와 예상치 (4.0%)를 모두 상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일 본토 (CSI300 +0.3%) 및 홍콩증시 (H지수 -0.8%) 모두 강한 상승세를 나타내지 못했다.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낮은 기저효과로 인한 영향 이외에 긍정적인 포인트들이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2022년 3월 제로코로나 기조가 강화되면서 상하이를 시작으로 대도시가 봉쇄되면서, 소매판매 증가율이 -3.5%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연말부터 리오프닝 영향으로 서비스업 (외식 등) 회복은 확인되고 있으나, 상품 소비는 여전히 나타나지 않았다.
3월 세부 데이터를 보면 외식이 전년대비 +26.3%로 전반적인 소매판매 상승을 견인했으나, 부동산 경기와 연결된 가구, 건자재/인테리어 부분은 각각 전년대비 +3.5%, -4.2%를 기록했다.
반면 시장의 관심인 청년층 실업률은 오히려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2월 18.1%였던 청년층 실업률은 3월 19.6%로 상승해 역대 최고치인 19.9%에 근접한 상황이다.
소비를 주도하는 청년층 고용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기저효과가 소멸된 이후에도 소매판매의 높은 상승세가 지속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불안감이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박수현 박수현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