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일반 의약품, 농약 등과 같이 화학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되거나, 미생물, 단백질 등과 같이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생산된 새롭고 유용한 물질 그 자체에 대한 특허. 그 물질이 관련된 모든 대상에 대해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특허이다.
특허의 존속기간은 출원일로부터 20년이다. 일반적으로 특허는 출원일로부터 대략 12~15개월정도의 심사기간이 소요되며 심사 결과 특허가 결정되면 그 특허기술을 공개하는 대신 국가에서 20년동안 독점권을 주게된다. 그러나 임상시험 또는 허가가 필요한 의약품의 경우 임상시험 등으로 인해 특허를 실시할 수 없었던 기간에 대하여 1회에 한해 연장 등록이 가능하다. 연장기간은 최대 5년이어서 의약품은 경우에 따라 최대 25년이 특허존속 기간이다.
게놈은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를 합성한 용어. 게놈 지도는 인간의 설계도에 해당하는 유전자를 구성하는 약 30억 개의 염기 순서를 짜맞춰 놓은 것, 즉 유전체의 전체 염기서열을 기록해 놓은 지도라 할 수 있다. 게놈지도를 통해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 기능이 분석 가능해져 신약개발과 미래 의학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유전자지도라고도 한다.한국은 2008년 12월 4일 가천의대 이길여암당뇨연구원(원장 김성진)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센터장 박종화)이 김성진 원장의 유전체를 이용하여 한국인 유전체의 전체 염기서열 지도를 완성했다. 이번 유전체 분석은 2007년 미국 크레이그 벤터 박사,지난 4월 미국 제임스 왓슨 박사와 11월 중국 양후안밍 박사에 이어 세계 네 번째로 공개된 것이다.
허가받은 버스만 통행하도록 함으로써 대중교통수단인 버스의 통행 속도를 높이고 도로의 정체를 피하기 위해 지정된 차선을 말한다. 1990년 8월 도로교통법에 따라 버스전용차로 설치 근거가 마련되면서 1993년 8월부터 10개 구간 52.2㎞ 운영을 시작한 후 2008년 9월 현재 총 68개구간 193.7㎞(고속도로버스전용차선 제외)에서 실시되고 있다. 2004년에는 서울 시내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제가 도입됐다.
지방자치단체가 버스에서 나온 모든 수입을 일괄적으로 모은 다음 각 버스회사에 분배금 형식으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버스운행은 각 버스회사가 맡되 의사결정이나 책임은 지자체가 지게 된다. 버스회사들의 안정적 재정 확보를 통해 적자노선에 대한 감차방지, 회사경영조건 개선, 직원 처우개선 등 효과를 거둘 수 있다.
Green Economy Initiative
국제환경연합계획(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이 세계적 경제 불황, 연료 문제, 식량난 등의 3대 과제 해결과 지속적인 경제 성장 도모를 위한 G8+5개국의 논의에 따라 UNEP와 독일, 노르웨이 등에서 마련한 약 4백만 달러의 연구자금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이 전략은 전 세계적으로 자연자원 서비스의 부가가치 창출 및 개발에 주력하고 그린 IT 산업의 신규 일자리 창출에 따른 경제 원동력을 모색하며 녹색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시장 변화를 촉구한다.
balance sheet recession
가계 빚이 많아 정부가 경기 부양책을 내놓아도 소비나 투자로 이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자산가격의 하락으로 기업이나 가계의 부채 부담이 커졌을 경우 경제 주체는 차입금을 최우선적으로 상환하기 때문이다. 이 개념은‘잃어버린 10년’으로 불리는 1990년대 일본의 장기 불황을 설명하는 경제학 이론에서 나온 것으로 리처드 쿠 일본 노무라종합연구소 수석 연구원이 이 용어를 만들고 이론을 정립했다. 그 이후 세계 각국의 불황을 설명하는 일반 용어가 됐다. 미국에선 벤 버냉키 전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2007년 금융위기 이후 몇 차례 언급하면서 주목받았다.
killer application
스타크래프트, MP3, 디카, 휴대폰과 같이 등장하자 마자 경쟁 제품을 몰아내고 시장을 완전히 지배할 정도로 인기를 누리거나 새로운 영역을 구축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말한다. 1999년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교수 래리 다운스와 비즈니스 전문지 편집장인 춘카 무이가 공동 저술한 <킬러 애플리케이션>이란 저서를 통해 알려지기 시작했다. 줄여서 ‘킬러앱(Killer App)’ 이라고도 한다.
killer contents
등장하자마자 경쟁제품을 몰아내고 시장을 지배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일컫는 킬러애플리케이션(killer application)을 문화ㆍ콘텐츠 분야에 적용한 것. 즉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국제적인 스타 등 문화상품으로서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콘텐츠를 말한다. 미국의 할리우드와 디즈니, 일본의 온라인 게임과 망가(漫畵), 프랑스의 와인과 향수 등 사치재 산업이 대표적인 예다.
Stag Deflation
경기침체와 이자율 하락 그리고 동시에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 2008년 10월 27일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학 교수가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개념이다. 이자율의 하락이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통념과 달리 루비니 교수는 생산설비과잉으로 인한 재고의 증가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으며, 석유 등의 상품가가 급락하며, 고용시장이 위축되면서 명목 임금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세계는 스태그 디플레이션을 맞게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KB에만 있는 금융콘텐츠
더 많은 콘텐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