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객 유치를 위한 제언

여행, 일상의 쉼표와 경제 성장의 느낌표 4화
25.07.14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외국인에게 한국 여행은 ‘수도권 여행’이라는 좁은 의미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수도권 이외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 유산, 자연 경관, 지역의 고유 특색 등을 활용하여 ‘지역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함

○ 문화체육관광부의 「2024년 외래 관광객 조사」에 따르면, 2010년대부터 2024년까지 외국인 여행객의 80% 이상이 수도권을 방문. 이는 수도권 이외 지역이 관광 인프라와 적절한 콘텐츠를 갖출 경우 향후 외국인 여행객 방문이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

(사례①) 영국은 4년 단위로 문화 도시를 지정하여 지역 관광을 개발하고 있음


• 리버풀의 경우 비틀즈와 해리포터 촬영지, 킹스턴어폰헐의 경우 모네 특별전과 거리 예술 축제 등이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제공

(사례②) 일본은 지역별로 여행 테마를 브랜딩하고 2000년대 비수도권 지역에 국제 공항 22개 건설, 재팬레일패스의 수시 구입 가능 등 교통 인프라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 북해도는 ‘아시아의 보물, 유구한 자연’, 규슈는 ‘화산의 섬’ 등 지역별로 차별화된 테마를 강조


• 다만, 외국인 여행객의 소비가 도쿄·오사카·교토 등 주요 도시에 집중되어 파급 효과가 지역별로 격차⁵를 보이는 만큼, 거점 지역에서 소비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고려되어야 함

○ 전주 한옥 마을, 안동 하회 마을 등 전통 문화 유산 보존 지역을 중심으로 ‘고품질 한옥 숙박 사업’, ‘한식 요리 사업’ 등 외국인의 여행 경험을 다양화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

○ 이밖에 제주도의 화산 지형, 강원도 정선의 석회석 동굴, DMZ 지역의 생태계 등의 투어는 한국의 자연을 알릴 수 있는 콘텐츠로 연계

음악·드라마·음식·문화 등 K-컬처에 대한 관심이 한국 여행을 넘어 소비 확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차별화된 콘텐츠와 상품이 필요함

○ K-팝 콘서트, K-드라마 촬영지 투어와 같이 한국만의 차별화된 콘텐츠를 발굴


• 외국인 관광객의 ‘한류 관광지’에 대한 선호가 ‘식도락 관광’·’쇼핑’·’자연 경관 감상’보다 낮다는 점을 고려하여 매력적인 한류 관광지를 발굴 및 개발

○ 국립중앙박물관의 굿즈와 같이 우수한 품질과 한국 고유의 문화를 담은 매력적인 상품을 개발


• 현재 인천공항에서 국립중앙박물관 굿즈가 판매되고 있으나, 명동·강남 등 외국인 쇼핑객이 몰리는 지역에 팝업스토어를 마련하여 가능성을 확인한 후 정식 스토어를 개설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음

⁵ 이형근, 2025, “2000년대 이후 일본 관광 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KIEP 기초 자료》, 2025-02호

외국인 여행객 중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비인접국 여행객을 유치하기 위해 맞춤형 콘텐츠 개발과 정보 접근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요구됨

○ 한국의 매력을 널리 전파할 수 있는 홍보 전략이 필요하며, 비인접국 여행객이 글로벌 플랫폼과 로컬 플랫폼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함


• 일본은 국가 차원에서 브랜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CNN 등의 글로벌 매체를 활용하여 자국의 자연, 문화, 도시 매력을 알리는 캠페인을 진행한 바 있음

○ 한국의 매력을 널리 전파할 수 있는 홍보 전략이 필요하며, 비인접국 여행객이 글로벌 플랫폼과 로컬 플랫폼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함


• 일본은 국가 차원에서 브랜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CNN 등의 글로벌 매체를 활용하여 자국의 자연, 문화, 도시 매력을 알리는 캠페인을 진행한 바 있음

○ 지리적으로 가깝다는 점에서 중국인과 일본인의 방한 비율이 높은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으나, 다양한 국가의 여행객을 흡수하는 전략이 향후 여행수지의 안정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음

새 정부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주 4.5 일제가 내국인의 국내 여행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 입안 시 소비자의 ‘여행지 선택 동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 흔히 국내여행을 다녀온 뒤 “그 돈이면 해외를 다녀올걸 그랬다”고 말하곤 하는데, 소비자는 국내여행과 해외여행을 두고 고민할 때 비용 대비 만족도를 고려하는 경향이 있음

○ 해외 여행지만의 매력(이국적인 풍경, 문화 유산 등), 심리적 측면(국내 여행은 언제든지 갈 수 있어 vs. 해외 여행은 이번에 꼭 가자) 등도 해외여행의 동기로 작용할 수 있음

○ 결국 이러한 요인들을 상쇄할 정도로 국내 여행지의 매력도가 해외여행지보다 높아질 때, 국내 여행수지의 개선을 비롯해 ‘관광 대국’이라는 원대한 비전에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됨

[부록] 2024년 국가별 여행객 수

순위 국가명 여행객 수(단위: 백만 명)
1 프랑스 102.0
2 스페인 93.8
3 미국 72.4
4 터키 60.6
5 이탈리아 57.7
6 멕시코 45.0
7 독일 37.5
8 일본 36.9
9 그리스 36.0
10 태국 35.5
11 오스트리아 32.2
12 사우디 아라비아 29.7
13 말레이시아 25.0
14 홍콩 21.9
15 네덜란드 21.3
16 인도 20.6
17 캐나다 19.9
18 베트남 17.5
19 모로코 17.4
20 크로아티아 17.4
21 한국 16.4
22 마카오 16.0

주: 모로코와 크로아티아는 19위로 동순위로 평가됨 
자료: UN Tourism World Tourism Barometer 

참고문헌

<국내 문헌>


김영준, 2020,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경쟁우위와 성장 특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김현주, 2024, “일본의 고부가가치 인바운드 관광 정책 추진 사례”, 《한국관광정책 2024》, Spring No.95.


김형종·이동은, 2023, “관광수지 영향 요인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수시연구》, 2023-04.


김형종·최경은, 2023, “중국인 방한관광 재개의 효과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현안연구》, 2023-05.


김형종, 2023, “경제 성장, 환율, 지리적 위치, 그리고 방한 관광”, 《한국관광정책 2023》, Spring No.91.


남석모·이승호·유지원, 2023.6.5, “한일 외국인 관광객 현황 및 평가”, 한국은행 블로그.


노시연, 2025. 6. 25, “외국인 관광객 2000만 시대 : 외국인 관광객 유입의 국내소비 활성화 효과와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주평》, 25-10호.


문화체육관광부, 2025.5.29, 「2024 외래관광객조사」.


법무부, 2025.5.20, “2025년 4월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이형근, 2025, “2000년대 이후 일본 관광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KIEP 기초 자료》, 2025-02호.


장수청·최규완, 2024, “국가별 관광산업의 특징과 대한민국 관광의 길”, 《야놀자 리서치 Insights》, Vol. 19.


장수청·최규완, 2024, “관광산업 진단을 통해본 대한민국 관광대국 도약의 조건”, 《야놀자 리서치 Insights》, Vol. 22.


장수청·최규완, 2025, “대한민국, 글로벌 관광객 유치 전략”, 《야놀자 리서치 Insights》, Vol. 23.


장수청·최규완, 2025, “관광, 침체된 지역경제 깨운다 : 지역관광 활성화 조건을 찾아서”, 《야놀자 리서치 Insights》, Vol. 24.


조아라, 2024, “국제관광 재개 시대, 일본인 방한여행 동향과 정책과제”, 《지리학논총》, 제70호.


최경은, 2024, “코로나19 전후 중국인 방한관광 현황 및 시사점”, 《INChina Brief》, Vol. 439.


한국은행, 2024.9.30, “2020년 기준년 산업연관표”.



<전자 문헌>


한국관광데이터랩 https://datalab.visitkorea.or.kr/datalab/portal/main/getMainForm.do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s://ecos.bok.or.kr/#/


IMF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s https://www.imf.org/en/Data


World Bank Open Data https://data.worldbank.org/

※ 본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인 의견으로 KB경영연구소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인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총 5화

여행, 일상의 쉼표와 경제 성장의 느낌표

가장 최신 시리즈예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