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화의 정의 및 배경

기업의 로컬화 전략과 지역 경제 활성화 1화
25.08.11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 기업의 ‘로컬화(Localization)’는 제품과 서비스, 마케팅을 지역의 문화와 환경, 소비자 요구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맞춤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을 의미


  • 로컬화란 ‘local’(지역의)에 -ization’(~화, ~되다)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로 ‘어떤 것을 특정 장소에 맞게 바꾸거나 조정하는 행위’를 의미

○ 지역 특색을 반영한 기업의 로컬화 전략은 다양한 관점에서 사업 확장과 새로운 수익 창출의 기회가 될 수 있음


  •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는 시대에 로컬화 전략은 생존을 위한 필수 과제이며, 다양한 형태로 지역 사회 및 경제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 최근 기업들은 로컬화 전략의 하나로 하이퍼로컬(Hyper Local) 서비스¹를 활용해 지역 소비자와의 접점을 강화하고, 지역 고유의 가치를 창출하는 로코노미(Loconomy) 트렌드에 맞춰 특산물·문화를 반영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마케팅을 실시

    - ‘로코노미’란 ‘지역(Local)’과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지역 고유의 특성(특산물, 콘텐츠, 분위기, 문화 등)을 반영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소비하는 경제 활동 트렌드를 일컬음
¹ 특정 지역 커뮤니티와 이웃 상권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나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온오프라인 활동을 연결하는 지역 밀착 서비스를 의미

○ 새 정부의 핵심 정책 과제 중 하나로 ‘지역 경제 활력 회복’과 ‘지역 균형 발전’이 제시되면서 민간 기업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음


  • 전문가들은 지역 균형 발전이 효과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지역 특화 발전과 역점 사업 투자가 중요하다고 강조²
  • 금융업계도 정부 정책에 동참하고 지역 사회 발전과 상생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
² 《뉴시스》, 2025.07.03, “배려 넘어 ‘우선’으로” 균형 발전 강조한 李… 지방 정책 탄력 받나” 변병설 인하대 행정학과 교수는 “지역별로 특화된 사업을 통해 새로운 브랜드와 부가가치를 만들어가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획일적인 재정 투입보다는 역점 사업을 선정해 집중 투자해야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제언

※ 본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인 의견으로 KB경영연구소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인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