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습관연계보험의 개념 및 유형

운전습관연계보험(UBI) 2.0 시대: 운전 습관 관리 모델로의 진화 1화
25.07.28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 운전습관연계보험(UBI, Usage-Based Insurance)은 운전자의 실제 운전 습관 및 차량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험료를 산정하는 자동차보험의 한 형태


  • 운전자의 과거 사고 이력이나 연령 등에 의존하던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 텔레매틱스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의 운전 습관을 실시간 분석하여 맞춤형 보험료를 제시함으로써 안전운전을 유도

    - 스마트폰 앱과 OBD(On Board Diagnostics, 온보드 진단기) 장치, 임베디드 시스템, 블랙박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전 정보를 수집

  • 전 세계 주요 자동차보험 시장에서 널리 도입되고 있는 자동차보험의 한 형태로, 텔레매틱스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 보급의 확대로 성장이 가속화됨

    -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하여 운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되면서 별도의 하드웨어 설치 비용 부담이 줄어들고 프로그램 접근성이 크게 향상됨

○ UBI는 보험료 산정 방식에 따라 PAYD(Pay-As-You-Drive, 주행거리 기반 요금제), PHYD(Pay-How-You-Drive, 운전 행태 기반 요금제), MHYD(Manage-How-You-Drive, 운전 습관 관리 요금제)의 세 가지로 분류


  • PAYD는 운전자의 운전 행태와 무관하게 주행거리에 따라 보험료가 산정되는 모델로, 운전을 적게 할수록 보험료가 저렴
  • PHYD는 운전자의 운전 행태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화는 모델로, 주행거리를 넘어 운전 행동을 분석

    - 과속, 급가속, 급제동 등 운전자의 운전 행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다 정교한 위험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한 운전 습관을 지닌 운전자에게 보험료 혜택을 제공

  • MHYD는 운전자의 운전 행태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과 보상을 제공하여 능동적인 운전 습관 개선을 유도하는 모델

    - 운전자의 운전 행동을 분석하여 보험료 산정에 반영하는 PHYD 모델에 실시간 피드백, 코칭, 보상 등을 접목하여 적극적인 운전 습관 개선을 유도

    * 미국자동차협회 교통안전재단(AAA Foundation for Traffic Safety)은 스마트폰 실험을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안전운전 피드백으로 과속 13%, 급제동 21%, 급가속 25%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밝힘

UBI 주요 모델별 특징

'UBI 주요 모델별' 특징을 정리한 표이다.

자료: 연구자 작성

※ 본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인 의견으로 KB경영연구소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인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