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혁신 사례: 고객 행동을 관리하는 디스커버리의 MHYD 모델

운전습관연계보험(UBI) 2.0 시대: 운전 습관 관리 모델로의 진화 3화
25.07.28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 ‘바이탈리티 헬스(Vitality Health)³’로 널리 알려진 남아프리카공화국 보험사 디스커버리(Discovery)는 고객의 운전 습관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험료 할인 외에 주유비 할인과 같은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자동차 자산가치 상승 등 다양한 프로그램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고객의 안전운전에 대한 동기를 극대화


  • 디스커버리가 개발한 ‘공유가치(Shared Value)’ 모델은 고객, 보험사, 그리고 사회 전체의 이익에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 창출을 목표로 함
  • 고객의 안전운전이라는 행동을 ①(단기) 일상적 운전 습관 보상 ②(중기) 다른 금융 생활과 연계한 추가 보상 ③(장기) 자동차의 자산가치 향상 등 다차원적 혜택으로 보상

디스커버리의 안전운전 유도 전략

'디스커버리의 안전운전' 유도 전략을 정리한 표이다.

자료: 디스커버리, 연구자 작성

³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도하기 위해 활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험료 할인·리워드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인센티브 기반 건강 관리 프로그램으로, 미국·영국·캐나다·독일·프랑스·일본·한국 등 여러 국가의 보험사와 제휴하여 서비스를 제공

① 바이탈리티 드라이브(Vitality Drive)

  • 고객의 운전 습관을 분석하고 등급에 상응하는 보상을 제공하는 행동경제학 기반의 자동차보험 프로그램

  • 고객의 운전 행태에 따라 바이탈리티 드라이브 포인트(Vitality Drive Point)를 부여하고 누적된 포인트를 기반으로 책정되는 운전 등급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보상을 제공

    - 일일 운전 점수⁴와 월간 주행거리, 야간 운전 및 차량 안전 점검 여부, 무사고 경력 등을 점수화하여 운전 등급을 매달 산출

    - 운전 등급에 따라 자동차 보험료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매주 주유비 캐시백과 차량 정비,타이어 교체, 차량 호출 서비스 등 제휴사 할인 혜택을 제공

  • 보상 외에 고객의 안전운전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도 제공

    - 급가속, 급제동, 과속, 스마트폰 사용 등 운전 습관을 분석하여 점수화하고 위험한 운전 패턴이 발생한 구간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운전 습관 개선을 유도

    - 실시간 사고 감지 기능을 통해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구조 요청 및 보험사 통보가 가능하고, GPS 위치 서비스와 현지 날씨 데이터를 결합하여 기상 정보를 전송

  • 프로그램 운영 결과, 운전 습관 최고 등급 운전자의 사고 발생률과 중대 사고 발생률이 최저등급 운전자에 비해 각각 58%, 31% 낮아지는 성과를 거둠

    - 운전자의 난폭운전(급가속·급회전 등) 발생 빈도가 41% 감소했다는 내부 통계도 보고됨

바이탈리티 드라이브의 주요 기능

'바이탈리티 머니' '등급 산정 요소'를 정리한 이미지다.

자료: 디스커버리은행, 연구자 작성

바이탈리티 프로그램 간 시너지 혜택

'바아탈리티 프로그램' 간 '시너지 혜택'을 정리한 이미지다.

자료: 디스커버리은행, 연구자 작성

③ 바이탈리티 자동차 등급(Vitality Car Rating)

  • 텔레매틱스 데이터와 보험 이력을 기반으로 차량의 상태와 운행 이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산정하는 ‘데이터 기반 중고차 가치 평가 시스템’

    - 자동차보험사 디스커버리인슈어(Discovery Insure)에서 올해 초 연식, 주행거리, 사고 유무만으로 가치를 판단하는 기존 중고차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

    - 기존의 바이탈리티 드라이브가 운전자의 현재 운전 습관에 초점을 맞춘다면, 바이탈리티 자동차 등급은 차량의 누적 운행 이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중고차의 가치를 재평가

  • 바이탈리티 자동차 등급은 ∆사고 이력(50%) ∆운전 행동(40%) ∆주행 환경(10%) 등 세 가지 요소를 분석

    - 사고 이력은 보험금 청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 유무 및 심도를 평가

    - 운전 행동은 운전자의 급가속, 급제동, 과속 등 누적 주행 데이터를 분석

    - 주행 환경은 차량을 운행한 도로 환경(도심, 고속도로 등)을 구분하여 평가

  • 고객은 바이탈리티 자동차 등급을 통해 제휴 중고차 업체에서 시장 가격 대비 최대 15%까지 높은 가치로 판매할 수 있음

※ 영국 캐롯인슈어런스(Carrot Insurance)의 MHYD 모델

○ 젊은 운전자를 대상으로 텔레매틱스 보험을 통해 MHYD 모델의 효과를 입증


  • ‘캐롯(Carrot, 당근)’이라는 이름처럼 잘하면 보상을 주는 전략을 활용하여 나쁜 운전에 대한 페널티보다 좋은 운전에 대한 보상을 강조

    - 운전자가 주간 운전 점수를 앱으로 확인하고, ‘그린존’ 점수를 유지하면 리워드를 제공

  • 이는 청년층의 사고율 감소(-42%)와 보험사의 수익성 제고를 동시에 달성한 모범적인 MHYD 성공 사례로 꼽힘

    - 캐롯인슈어런스는 MHYD 도입 결과, 같은 연령대의 일반 자동차보험 가입자 대비 사고 발생률이 42% 감소하고, 보험사 측면에서도 손해율이 개선되어 합산 비율이 평균 7%p 향상되는 등 수익성도 크게 증가

    - 전문 모니터링 팀이 운전자에게 직접 전화나 메시지로 코칭하는 능동적 위험 관리도 실시했는데, 2019년 한 해 동안 발생한 개별 개입 건수 1만 1,893건 중 74%에서 운전자가 개선된 운전 행동을 보임

  • 이 같은 보상 중심의 행동 관리 전략 덕분에 MHYD 가입자 중 64%는 가입 기간 내내 긍정적인 운전 점수를 유지했고, 두 번 연속 최저 등급을 받은 비율은 5% 남짓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남

※ 본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인 의견으로 KB경영연구소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인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