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업의 로컬화 전략과 지역 경제 활성화

25.08.11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요약

❑ 로컬화의 정의 및 배경


  • 기업이 제품과 서비스, 마케팅을 지역의 문화와 환경 등에 맞춤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인 ‘로컬화(Localization)’는 다양한 관점에서 사업 확장과 새로운 수익 창출의 기회가 될 수 있음
  •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는 시대에 로컬화 전략은 생존을 위한 필수 과제이며, 다양한 형태로 지역 사회 및 경제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 최근 기업들은 로컬화 전략을 통해 지역 고유의 가치를 창출하는 ‘로코노미(Loconomy)’ 트렌드를 이끌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음
  • 새 정부의 핵심 정책 과제 중 하나로 ‘지역 경제 활력 회복’과 ‘지역 균형 발전’이 제시되면서 민간 기업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금융업계도 정부 정책에 동참하고 지역 사회 발전과 상생을 도모하기 위한 역할 모색이 필요

❑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업 및 금융회사의 로컬화 사례


  • 【스타벅스】 지역과 상생하며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지역 상권 맞춤형 매장을 개설하고 특산물을 활용한 식음료 메뉴를 출시
  • 【KT】 정보기술(IT)·통신 소외 지역에 위치한 축산 농가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지역 맞춤형 솔루션 스마트팜 통신망 및 CCTV 인프라 구축을 지원
  • 【노브랜드】 시장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인들을 위해 전통 시장 내 지역 밀착형 상생스토어를 개설하여 매출 증가와 소비 진작을 촉진
  • 【이마트 트레이더스】 상권의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지역 특화 매장을 구성하는 등 소비자 경험 강화를 통해 매장 방문을 유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
  • 【현대차】 지역별 차량 사양을 다르게 설계하는 ‘현대 셀렉션 구독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수도권에 집중된 자동차산업과 모빌리티 서비스를 비수도권으로 확대
  • 【배달의민족】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브랜드와 문화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전략으로 다양한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앱 내 지역별 음식 카테고리를 차별화
  • 【미국 홀푸드 마켓】 지역 식품 업체에 대한 지역 생산자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성장자금 대출 프로그램 지원
  • 【일본 난토은행(Nanto Bank, 南都銀行)】 역사적 건축물이나 옛 가옥을 개조해 만든 전통 숙박 시설을 활용한 다양한 개발 사업에 투자하여 관광을 진흥하는 등 지역 사회에 공헌
  • 【아메리칸익스프레스】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자사 카드로 지역 소상공인 상점에서 결제 시 캐시백을 주는 캠페인 시행
  • 【BNP파리바】 지역의 특성과 문제를 파악한 후 그 해결책과 연결되는 지역 맞춤형 사업을 추진

❑ 시사점 및 제언


  • 로컬화는 기업 경영의 중요한 축으로 기능하며 지역 경제에 이익을 주는 동시에 기업의 성과를 높이는 ‘상생 전략’이며, 최근 지역 경제 활성화와 기업의 공유 가치 창출 측면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음
  • 로컬화에 성공한 기업들은 단순한 전국 균일 성장 대신 각 지역의 산업 구조, 인구 특성, 문화적 배경을 반영한 맞춤형 접근을 구사하고 지역 사회와의 장기적 파트너십 구축에 집중
  • 금융회사도 획일화된 여·수신 상품 제공에서 벗어나 지역의 특색과 산업, 문화, 인구 특성까지 아우르는 전략적 접근을 통해 특화된 플랫폼 제작이나 고객 맞춤형 상품과 서비스 제공, 마케팅 추진을 검토할 필요

※ 본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인 의견으로 KB경영연구소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인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