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규범 접근법 Normative ethics
○ 규범 접근법은 철학의 윤리 이론에서 도출된 방법론으로, 윤리와 관련된 선택에 대해 주의 깊게 생각하고 윤리적으로 ‘옳은’ 결정을 내리기 원하는 ‘양심적인 도덕 행위자(conscientious moral agent)’라면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 지 도움을 주는 의사 결정 도구를 제공
- [결과론적 접근법] 행위의 잘잘못을 그 행위가 초래하는 결과에 기초해서 판단하는 방법론
- 결과론적(consequential) 또는 목적론적(teleological)¹⁰ 접근법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결과주의 이론으로 공리주의가 있음. 흔히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추구’로 잘 알려져 있는 공리주의는 윤리적 의사결정이 사회에 대한 효용을 최대화하고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관점으로 접근
- 이 접근법은 실천적 측면에서 어떤 행동이 결과적으로 가능한 한 많은 사람에게 최대의 이익이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는 행위 지침으로서 간단 명료하다는 점이 장점
- 다만, 사회적 이익의 총량 증대만 강조할 경우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하거나, 비도덕적으로 보일 수 있는 많은 행위를 정당화하는 부작용도 존재
▫ 다수의 이익을 명분으로 소수 집단의 권리가 쉽게 희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과거 미국 남부의 노예 소유주들은 노예 제도가 최대 다수의 최대 이익에 기여한다고 주장¹¹
- [의무론적 접근법] 행위의 결과와 무관하게 행위에 대한 도덕적 책무와 의무를 중시하는 방법론
- 의무론적(deontological)¹² 접근법은 보다 넓고 추상적이며 보편적 윤리 원칙(정직함, 공정성, 정의, 권리, 책임 등의 가치를 포함)에 기초해 무엇이 옳은지 결정하는 방법론으로, 대표적으로 칸트주의가 있음
-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정언명령¹³이라는 개념을 통해 어떤 조건이나 결과에 상관없이 행위 자체가 선하므로 절대적이고 의무적으로 행할 것이 요구되는 법칙을 제시
▫ 예를 들어 누군가 약속을 어길 경우 “약속을 어기는 것이 모든 사람이 따라야 할 원칙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아니다’는 답변을 이끌어낼 수 있음. 모두가 약속을 어긴다면 약속 자체가 무의미해지고, 실제 약속이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기 때문
- 이러한 접근법에서는 “의무 사이에 대립이 있을 때 충돌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직면했을 때 어떤 의무·권리 또는 원칙이 우선하는지를 결정하기 어렵기 때문
- 또한 동정심이나 보상이 없이 “순수한 의무감으로 행동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얼마나 가능할 것인가”라는 측면에서 비판을 받기도 함
- [덕 윤리 중심 접근법] 행위 자체보다 행위자의 도덕적·성격적 특징을 중시하는 방법론
- 덕(Virtue) 윤리 중심 접근법은 결정이나 행위 자체보다 행위자의 올곧음(Integrity)¹⁴에 초점을 맞추고, 품성과 덕을 강조하며 좋은 사람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접근법으로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체계화
- 이 관점은 높은 윤리적인 행동 기준이 요구되는 전문가 집단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공개 규칙」의 기반이 됨
- 「공개 규칙」은 “당신의 행동이 신문에 기사화된다면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보다 넓은 공동체의 기준에 기초하여 윤리적 판단을 내리도록 도와주는 방법론
▫ 이는 대부분의 상황에 적용되는 공동체의 대응 기준이 있고, 그에 소속된 사람들은 직관적으로 그 기준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고 가정하는데, 특히 신속한 의사결정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음
▫ 특정한 행동이 신문과 같은 매체에 기사화되면 (직관적으로) 좋아 보이지 않고 떳떳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실제 그 행동을 하는 것이 공동체에서 보기에도 올곧은 사람으로 보이지 않을 것이므로 그것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판단을 내리게 된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