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2025년 4월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

관세 ‘D-day’, 불확실성은 금리 하락 요인, 달러 독주의 균열
25.03.28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Macro

관세 ‘D-day’, 부메랑으로 돌아올 관세

  • 4월 빅 이벤트는 2일 예고된 트럼프의 ‘관세 부과’, 주요 무역 대상국과 핵심 수입품에 대해 고율 관세, 일반 관세도 10~20% 부과될 전망
  • 미국 관세 부과에 전세계 교역 위축, 경제성장률은 하방 요인. 특히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북미 지역에 무역과 경제적 손실 확대
  • 미국 역시 관세 부과에 따른 성장 둔화, 일자리 감소 불가피. 향후 관건은 트럼프와 상대국의 관세 협상이 될 전망
  • 주요국 1분기 성장률 발표, 중국과 한국 둔화, 유럽 경제도 개선 폭 미미, 오히려 미국의 경제성장 둔화가 관건

금리

유행처럼 번져 나가는 ‘신중한 접근’ (4월 미국 10년 4.00~4.50%, 한국 10년 2.65~2.95%)

  • 3월 미국 금리,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우려로 인해 심리지표의 실물 경제지표간 괴리가 발생하면서 상승
  • 주요국 중앙은행, 상호관세 부과로 인한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 당분간 통화정책에 ‘신중한 접근’을 유지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작용으로 인한 실물지표 둔화 조짐이 부각되면서 금리 하락 추세 유지될 전망
  • 한국은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가능성에도 추경 편성 우려 및 금리인하 기대 약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시장 변동성 확대에 유의할 필요

환율

달러 독주 체제 균열에도 원화는 저평가, 4월 연고점 경신 가능성 (4월 1,430~1,500원)

  • 달러, 미국 예외주의 약화와 글로벌 증시 흐름 차별화에 약세 지속, 다만 고용 및 소매판매 등 하드 데이터 둔화 여부 확인 필요
  • 유로, 트럼프 관세 정책 경계에 변동성 확대, 독일 재정지출 확대 및 종전 기대 등 경기 모멘텀 개선에 완만한 강세 예상
  • 일본 엔, 높은 물가상승률과 임금상승률, 4월 춘투 주시, BOJ 추가 금리인상 기대와 미일 장기금리차 축소에 강세 예상
  • 한국 원, 글로벌 통상환경 불확실성, 정국 불안 지속, 내수 및 수출 둔화 우려, 외국인 배당 등 수급 부담에 약세 예상

4월 Macro & Market Calendar

4월 '경제 일정'을 정리한 캘린더이다.

자료: Bloomberg, 인포맥스, Trading Economics,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각국 중앙은행미국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House View

'자본시장그룹' 'House View'를 정리한 표이다.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